슬롯 머신 돈 따는 법 계림유사와 고려시기의 조선어 ()

문자
문헌
1985년 중국 조선어 어학자 안병호가 송나라 손목의『계림유사』에 실려 있는 고려 방언 및 고려시대 국어에 대하여 저술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슬롯 머신 돈 따는 법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85년 중국 조선어 어학자 안병호가 송나라 손목의『계림유사』에 실려 있는 고려 방언 및 고려시대 국어에 대하여 저술한 학술서.
개설

김일성대학 출신의 중국 조선족 학자 안병호가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 소재 고려 방언 및 고려시대 국어에 대해 연구한 책이다.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의 저자 손목 및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의 자료적 성격을 다룬 후, 고려시대의 음운체계를 재구하고, 각 어휘의 문법적 특성을 다루고,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에 실려 있는 352항목에 대해 해독을 제시하고, 몽골어, 서장어(티베트어), 위구르어, 일본어, 만주어의 동족어(cognate words)와 비교하였다.

구성 및 형식

신국판 반양장 활판본. 1권 1책. 머리말 2쪽, 차례 1쪽, 본문 357쪽. 1985년 중국 흑룡강성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간행. 국내에서는 민족문화사가 영인 보급하였다. 필자의 개인적 슬롯 머신 돈 따는 법 결과를 단행본으로 출판한 것이다.

내용

1장 〈슬롯 머신 돈 따는 법〉과 『슬롯 머신 돈 따는 법류사』에 대하여, 2장 『슬롯 머신 돈 따는 법류사』에 표기된 고려어의 어음, 3장 『슬롯 머신 돈 따는 법류사』에 반영된 고려 어휘의 변천과 문법적 분석, 4장 『슬롯 머신 돈 따는 법류사』에 수록된 고려 어휘의 전반적 분석 등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의 내용은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의 자료적 성격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었고, 2장에서는 고려시대 국어의 자음체계와 모음체계를 재구하였다. 3장의 내용은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 소재 어휘의 문법적 분류이며, 4장에서는 352개 항목에 대한 해독과 함께 몽골어, 서장어(티베트어), 위구르어, 일본어, 만주어의 동족어를 비교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중국 조선족 학자에 의한 최초의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 연구서라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국내의 앞선 연구 결과들에 대해서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어서 내용상의 타당성이나 정확성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슬롯 머신 돈 따는 법류사와 고려시기 조선어』(안병호, 哈爾濱: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5)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유사(鷄林類事) 고려방언(高麗方言) 연구』(강신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0)
집필자
한영균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슬롯 머신 돈 따는 법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