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음독구결 ()

목차
관련 정보
문자
개념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 순독구결 · 음독입겿 · 순독입겿.
이칭
이칭
순독구결(順讀口訣), 음독입겿, 순독입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은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이다. 순독구결,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입겿, 순독입겿이라고도 한다. 구결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를 다는 것으로 석독구결과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이 있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은 한문의 어순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한문의 각 구절 아래에 토를 단다. 원문의 한자들은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다. 대부분의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구결은 한자의 약체자를 사용하며, 정자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현존하는 고려말 조선초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 자료로는 『능엄경』이 대표적이다.

목차
정의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 순독구결 · 음독입겿 · 순독입겿.
연원 및 변천

고유명사표기에서부터 발달한 차자표기는 문장 차원에서도 우리말에 가깝게 적으려는 노력이 진행된 한편 고려 후기에 접어들면서 한문을 그 자체로 잘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한문에 토(吐)를 달아 읽는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이 널리 사용되었다. 과거제도가 확립되고 12공도(公徒)의 사학(私學)의 설립이 한문의 암송과 동시에 그 뜻도 이해할 수 있는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의 발달에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언해문과는 별도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원문과 같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내용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를 달아 그 한문이 어떻게 풀이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의 특징은 원전에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을 제외했을 때에 남는 것은 한문 원전이라는 것이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도 차자표기 체계의 일환에 지나지 않는 것이나, 그것은 한문 특히 경서류의 해석, 번역에 집중적으로 적용되었으므로 자연히 향찰이나이두와는 구별하게 되었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에는 토를 달고 읽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유형이 있다. 13세기까지는 한문의 원문을 당시의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석독슬롯 머신 돈 따는 꿈(釋讀口訣)이 주로 쓰였는데,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 무렵부터는 한문을 그대로 읽되 읽기 쉽도록 각 구절 아래에 우리말의 조사와 어미에 해당하는 토를 단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音讀口訣)이 사용되었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은 한문의 어순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한문의 각 구절 아래에 토를 달고 원문의 한자들은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논어의 한 구절 ‘樊遲問仁子曰愛人’에 토를 달아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로 바꾸면 ‘樊遲 問仁爲隱大 子曰 愛人是尼羅(번지 문인한대 자왈 애인이니라)’가 된다. 여기서 ‘爲隱大/한대’, ‘是尼羅/이니라’가 토인데 이 토를 구결 또는 입겿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고려말 조선초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 자료로는 『능엄경(楞嚴經)』이 대표적인데 학계에 보고된 이본만도 20여 종에 달하며 이 중 4종은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자료집(口訣資料集) 1, 2, 3』으로 간행되었다.

이외에도『남명천화상송증도가』, 『영가진각선사증도가』, 『범망경보살계(梵網經菩薩戒)』,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법화경(法華經)』,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丹經)』 등 많은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이 달린 불경들이 전하며 16세기 이후의 구결 자료에는 유교 경서의 자료가 많이 전하고 있다. 이 중 능엄경, 법화경 등은 주1에서 간행한 언해본과의 비교가 가능하고 이본이 많이 전하고 있어 국어사 연구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 문헌은 간본인 한문 원전의 행간에 붓으로 구결을 차자로써 표기한 것인데 『서전대문(書傳大文)』,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동몽선습(童蒙先習)』, 『주자증손여씨향약언해(朱子增損呂氏鄕約諺解)』, 『정속언해(正俗諺解)』 등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이 같이 인쇄된 간본 자료도 다수 전한다. 이 중 『동몽선습』은 어린이 학습서로서 행간에 정자로 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이 달린 것으로서 ‘만력 정해(萬曆丁亥)’(선조 20, 1587)년에 간행했다는 간기가 있다.

『동몽선습』 등의 일부 문헌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구결은 ‘亻(이: 伊의 일부)’, ‘厂(애: 厓의 일부)’, ‘口(고: 古의 일부)’ 등과 같이 한자의 약체자를 사용하며, 정자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위에서 예를 든 논어 구절을 약체자 구결로 바꾸면 ‘樊遲 問仁 子曰 愛人’와 같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한자 정자나 약체자를 이용한 구결 대신 한글로 구결을 단 경우도 한문을 그 음으로만 읽기 때문에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이라고 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차자표기에 의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로 한정하고 있다.

2009년에 간행된 『석독(釋讀)구결사전』의 부록에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사전』이 전자 파일 형태로 제공되어 있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에 나타나는 여러 구결 항목을 조망할 수 있는데 아직 많은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상태이다.

참고문헌

『석독슬롯 머신 돈 따는 꿈사전』(황선엽 외, 박문사, 2009)
『여말선초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입겿(口訣)의 종합적 고찰』(남경란, 경인문화사, 2005)
『중세국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의 연구』(안병희, 일지사, 1977)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구결 연구의 회고와 전망」(남경란, 『구결연구』 21, 2008)
「한국의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정재영,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연구』 17, 2006)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의 생성 및 변천에 대하여」(심재기, 『한국학보』 1, 1975)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불경의 번역 및 인쇄와 발행을 맡아보던 임시 관아. 세조 7년(1461)에 두어 능엄경, 법화경, 금강경, 원각경 등 수많은 불경을 언해하여 간행하였으며, 성종 2년(1471)에 폐지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병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