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법화경구결 ()

문자
개념
『묘법연화경』에 현토된 구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묘법연화경』에 현토된 구결.
개설

불경의 하나인 『묘법연화경』 즉 『법화경』에 현토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말한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은 읽는 방식에 따라 한자의 훈(訓, 새김)을 사용하는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釋讀口訣)과 음(音)을 사용하는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音讀口訣, 순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로 나누기도 하고,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기입한 필기도구에 따라 각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角筆口訣)과 묵서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墨書口訣)로 나누기도 한다.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에는 『화엄경』 『구역인왕경』 『유가사지론』 『금광명경』 등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있고,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에는 『능엄경』 『범망경』 『금강경』 등의 불경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있다. 각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에는 『화엄경』 『유가사지론』 등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있고, 묵서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에는 『능엄경』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천태사교의』 『천로금강경』 등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있다.

『법화경』은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과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기입된 것도 있으며, 각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과 묵서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기입된 것도 있기 때문에 단일 불경 중에서는 가장 다양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보여 주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자료이다.

내용

연세대학교 소장 『법화경』은 각필로 현토된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현토되어 있으며, 송일기 소장 『법화경』에는 각필로 현토된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현토되어 있다. 원각사 소장 『법화경』 등 수많은 『법화경』에는 묵서로 된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 현토되어 있다. 『법화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판각된 불경이기 때문에 『법화경』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도 가장 다양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의 종류를 보여 준다.

『법화경』에도 연세대학교 소장 『법화경』 각필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기림사 소장 묵서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등과 같이 부를 수 있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자료가 있지만, 『법화경』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이라 할 때는 보통 『구역인왕경』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소곡본 『능엄경』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남권희본 『능엄경』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등과 같이 특정한 문헌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지칭하는 용어라 볼 수는 없으며 불경의 일종인 『법화경』에 기입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이해해야 한다.

의의와 평가

단일 종류의 문헌에서 각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과 묵서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석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과 음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순독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을 모두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口訣)

참고문헌

『고대한국어논고』(남풍현, 태학사, 2014)
『고대한국어연구』(남풍현, 시간의 물레, 2009)
『국어사를 위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연구』(남풍현, 태학사, 1999)
『차자(借字) 표기법 연구』(남풍현,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1)
「연세대 소장 각필 “묘법연화경”의 점토 특성」(이전경,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학회, 2015)
「신라 사경에 대한 연구」(정재영,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연구』 33,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학회, 2014)
「여대선초(麗代鮮初)의 17자본(字本) 『법화경』 판본 연구」(송일기, 정왕근, 『서지학연구』 59, 201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