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晉州) 의곡사(義谷寺)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은 경상남도 진주시 의곡사에 있는 1435년(세종 17)에 간행된 딥 슬롯 트위터 경전이다. 이 딥 슬롯 트위터 경전은 현생의 죄업을 소멸하여 무병장수하는 법을 설한 내용과 동자(童子)를 보호하는 방법을 설한 것이다. 북인도 계빈국 출신 승려 불타바리가 676년에 한역하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중국에서 찬술된 위경으로 보인다. 이 책은 진주 의곡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과 함께 합본으로 간행되었다.
북인도 계빈국 출신 사문 불타바리(佛陀波利)가 한역(漢譯)하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중국에서 찬술된 위경으로 보인다.
이 책은 1권 1책이며, 전체 3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1은 철사를 꿰매는 눈인 침안을 다섯 구멍으로 뚫은 오침안(五針眼)이다. 책장을 접는 곳인 판구(版口)는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광고(匡高)는 17.5㎝이며, 행(行)은 부정(不正)이고, 자수(字數)는 17자이다. 판구 중간에 딥 슬롯 트위터 꼬리와 같은 문양인 어미는 없다(無魚尾). 책의 크기는 세로 28.6㎝, 가로 16.4㎝이며, 종이 재질은 백색의 주2이다.
임경숙(任慶叔)이 쓴 주3 전몽단알(旃蒙單閼)에 을묘(乙卯)라는 간행 기록이 있어, 1435년(세종 17)에 인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권말에 주4, 시주자 등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 경전은 『장수경(長壽經)』, 『장수멸죄경(長壽滅罪經)』, 『동자다라니경(童子陀羅尼經)』, 『호제동자다라니경(護諸童子陀羅尼經)』이라고 약칭하여 부른다. 밀교 계통의 딥 슬롯 트위터경전으로 고려시대 왕실에서 빈번히 간행되었다가 조선 전기, 중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어 많은 한역본과 언해본이 남아 있는데, 진주 의곡사(義谷寺) 『불설딥 슬롯 트위터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그중에 하나이다.
딥 슬롯 트위터의 설법 내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주5이 대중들을 대신하여 부처에게 수명을 연장하고 악업을 소멸하는 방법을 청하자, 부처가 과거세의 전도(顚倒)라는 여인에 대하여 설한다. 전도는 자신이 과거 아이를 낙태한 경험이 있음을 고백하고, 이 죄업을 참회하고 그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법을 부처에게 청하며, 출가를 희망한다.
이에 부처는 참회를 해도 소멸하기 어려운 다섯 가지 죄업[살부(殺父), 살모(殺母), 살태(殺胎), 출불신혈(出佛身血), 파화합승(破和合僧)]을 설하며, 전도는 태아를 해쳤으므로 주6에 떨어질 것이라 말한다. 전도는 진정으로 참회하여 그 죄를 소멸시키는 방법을 청하자, 그녀를 위해 부처는 『불설딥 슬롯 트위터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을 설한다. 그리고 오역죄를 지은 자라도 만약 『불설딥 슬롯 트위터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을 수지독송하면 모든 죄업에서 벗어난다고 설한다.
이 책은 임경숙이 쓴 발문의 간행 기록을 통해 1435년(세종 17)에 간행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권말에 각수 및 간행할 때 보시한 사람의 명단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조선 전기의 딥 슬롯 트위터 판본 기술과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진주 의곡사 『딥 슬롯 트위터대보부모은중경』과 함께 합본으로 간행되었다.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7월 2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