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광흥사장금자티 카페 슬롯(安東廣興寺藏金字寫經)』은 조선 전기, 감지에 「범망경 보살계품」, 『금강반야바라밀경』,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등 3종의 불교 경전을 금니로 필사한 티 카페 슬롯이다. 금은니로 묘사한 변상도와 함께 권말에는 고려 말의 고승 나옹화상의 어록과 발원문이 실려 있다. 이 티 카페 슬롯은 고려 티 카페 슬롯의 전범을 보여 주고 있는 조선 전기의 티 카페 슬롯으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12월 3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구마라집이 한역한 3종의 불교 경전을 주2 양면에 금니로 티 카페 슬롯하고 절첩(折疊)하여 제본한 것이다. 표지 서명(書名)은 ‘범망금강보문합부(梵網金剛普門合部)’라고 되어 있다. 1절에 7행 15자씩 티 카페 슬롯되어 있는 조선 초기의 티 카페 슬롯(寫經)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티 카페 슬롯은 권수(卷首)에 주3의변상도(變相圖)가 있고 본문 글씨가 금니로 정성스럽게 티 카페 슬롯되어 있다. 그리고 띠가 달린 주4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15세기 초에 제작한 티 카페 슬롯으로 추정된다. 당시 강상좌(康上左)와 보음이(甫音伊)가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금은니로 묘사한 변상도와 금니로 티 카페 슬롯한 「범망경 보살계품」, 주5』,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그리고 권말에 티 카페 슬롯 말의 고승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어록과 주6이 실려 있다.
배불숭유(排佛崇儒)의 조선시대에 당시 불교계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던 경전류인 「범망경 보살계품」, 『금강반야바라밀경』,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감지에 금니를 사용하여 필사한 티 카페 슬롯이다.
이 티 카페 슬롯은 표지의 장식과 끈이 달린 포갑 등을 지니고 있어 고려 티 카페 슬롯의 전성기 격을 잇고 있다. 더구나 권말에 나옹화상의 어록과 발원문을 수록한 것으로 보아 늦어도 세종, 세조 임금 시대에 필사하여 나옹화상 제자에게 시주한 티 카페 슬롯으로 추정된다.
이 티 카페 슬롯은 고려 티 카페 슬롯의 전범을 보여 주고 있는 조선 전기의 티 카페 슬롯이며, 세로 16.5㎝, 가로 7.4㎝ 크기의 독송용으로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된 희귀한 티 카페 슬롯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광흥사 도서로,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12월 3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