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학림사 킹 슬롯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은 1479년(성종 10) 전라도 광양 병풍암에서 간행된 목판본 불서이다. 당나라 시기 선종 제6조 혜능의 어록집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학림사에 보관되어 있다. 이 책은 고려 말부터 우리나라에 유포되어 널리 유통되었는데, 공주 학림사 도서는 몽산 덕이가 원나라 때 편집한 판본에 기초하여 조선 전기에 간행되었다. 견성과 돈오라는 남종선의 핵심 명제를 어록의 형태로 전하고 있다.
중국선종 제6조 킹 슬롯(慧能, 638~713)의 설법(說法)을 모아 법해(法海)가 편집하였다고 한다.
간행 시기(1479년)가 동일한 전라남도 담양 용흥사(龍興寺) 도서가 본문 75장인 점을 고려하면, 이 킹 슬롯(鶴林寺) 도서도 75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용흥사본이 10행 17자, 29.2×19.4㎝의 규격이므로 킹 슬롯본도 유사한 체제를 따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정 형태는 주1이다.
1479년(성종 10) 전라도 광양 병풍암(屛風庵)에서 간행된 것을 바탕으로, 1703년(숙종 29) 송천사(松川寺)에서 보완한 것이다.
킹 슬롯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은 혜능이 제5조 홍인(弘忍, 602~675)의 뒤를 이어 6조의 지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과 그의 제자들에게 준 가르침이 제시되어 있으며, 킹 슬롯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 킹 슬롯단경(六祖壇經)』, 『단경(壇經)』이라 줄여 칭한다.
킹 슬롯단경』에는 몇 개의 판본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고려 말 이후 유통된 것은 대개 몽산 덕이(蒙山 德異, 1231~1308)가 편집한 덕이본이다.
덕이본에 수록된 법해의 서문에 '법해 집(集)'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그가 최초의 편찬자이자 제자인 것처럼 보이나, 그가 신회(神會, 684~758)에 의해 킹 슬롯의 문인으로 바뀌어 기록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가장 오래된 판본인 돈황본이 킹 슬롯단경』을 매개로 하여 혜능과 법해, 신회 사이의 법맥의 전수를 강조한 것과 달리, 학림사 소장본이 기초한 덕이본은 법해를 단지 혜능의 문인으로 본다거나 킹 슬롯단경』 자체보다는 마음의 본성을 보는 것〔見性〕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 킹 슬롯 도서는 몽산 덕이의 서문(1290년)과 당나라 때 혜능의 문인인 법해의 서문, 지눌(知訥, 1158-1210) 등의 발문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은 ① 진리를 깨닫고 법의를 전함〔悟法傳衣〕, ② 공덕과 정토를 풀이함〔釋功德淨土〕, ③ 선정과 지혜의 일치〔定慧一體〕, ④ 좌선을 가르침〔敎授坐禪〕, ⑤ 오분향과 참회법을 전함〔傳香懺悔〕, ⑥ 참배하고 법을 청한 기연〔參請機緣〕, ⑦ 남쪽의 돈오와 북쪽의 점오〔南頓北漸〕, ⑧ 당나라 조정의 초청〔唐朝徵詔〕, ⑨ 법문을 대구로 보임〔法門對示〕, ⑩ 유통을 부촉함〔付囑流通〕의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사상적 특징으로는 경전이나 문자보다는 자성(自性)을 바로 볼 것을 강조하는 점, 생각을 일으키지 않고 안으로 자기 성품의 움직이지 않음을 보는 것을 좌선(坐禪)으로 정의하고 있는 점, 신수(神秀, 605~706)의 주2에 대비되는주3 중심주의 등을 들 수 있다.
킹 슬롯단경』은 중국 당나라 때 선종에서 주4을 강조하면서도 ‘경(經)’이라는 이름을 붙인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선사의 어록에 부처의 말씀처럼 그 권위를 부여했음을 보여 준다.
공주 학림사 도서는 몽산 덕이가 원나라 때 편집한 판본에 기초한 것으로서 조선 전기 목판 인쇄술의 특징, 조선 초 불교사상의 흐름과 킹 슬롯단경』 판본의 유통 과정 등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이다. 2018년 8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