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고불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573년(선조 6) 흥복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후쇄한 목판본 불서.
이칭
약칭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은중경(恩重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573년(선조 6)
권책수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은중경(恩重經) 언해(諺解)
소장처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불사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류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시도유형5 릴 슬롯유산(2019년 5월 29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촌로28번길 77 (철마면, 고불사)
• 본 항목의 5 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5 릴 슬롯 요약

고불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1573년(선조 6) 흥복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후쇄한 목판본 불서이다. 이 불서는 『부모은중경』 또는 『은중경』이라고 줄여 부른다. 유교의 5 릴 슬롯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5 릴 슬롯가 효(孝)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위경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다. 조선 전기에 간행된 언해본이고 변상도가 있다는 점에서 5 릴 슬롯사, 국어학, 미술사 연구를 위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정의
1573년(선조 6) 흥복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후쇄한 목판본 불서.
서지사항

고불사(古佛寺) 『불설대보5 릴 슬롯은중경(佛說大報父母㤙重經)』은 1573년(선조 6) 흥복사(興福寺)에서 간행한 판본을 후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주1의 초역본(初譯本) 계통이며, 불분권(不分卷) 1책(27장) 완본이다.

구성과 내용

『불설대보5 릴 슬롯은중경』은 『5 릴 슬롯은중경』 또는 『은중경』이라고 줄여 부른다. 『5 릴 슬롯은중경』은 수당(隋唐) 초기에 성립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위경(僞經)이다. 5 릴 슬롯가 중국에 전래된 후에 중국의 전통 윤리와 충돌하면서 유교의 관점에서 5 릴 슬롯를 비판하였는데, 『부모은중경』은 그러한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5 릴 슬롯가 효(孝)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위경(僞經)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다.

한국 5 릴 슬롯에도 일찍부터 수용되었으나, 1300년(충렬왕 26)에 간행된 것이 현재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당의 사경(寫經)을 그대로 판각하였는데, 현행본과 큰 차이가 있다. 조선시대에 『5 릴 슬롯은중경』이 주2』 다음으로 많이 간행되었는데, 국가의 억압이나 유학자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5 릴 슬롯가 효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과 무관하지 않다.

1545년(명종 1)에 전라도 완주의 오응성(吳應星)이 처음 언해(諺解)하여 간행한 초역본을 비롯하여 36종의 언해본이 간행된 것으로 알려져 5 릴 슬롯. 언해본은 형태에 따라 초역본 계통, 조원암본(祖院菴本) 계통, 금산사본(金山寺本) 계통 등 세 계통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언해본이 조선 중기 이래 많이 간행되어 일반 서민들에게 널리 유통되었다. 또한, 일반 서민들의 교화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변상도(變相圖)가 반드시 첨가되었다. 그림의 5 릴 슬롯은 시대와 판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거의 비슷하다.

변상도의 구성은 서론에 해당하는 '여래정례도(如來頂禮圖)'를 시작으로 5 릴 슬롯의 열 가지 큰 은혜에 대한 설명을 그린 10장의 '십은변상도(十恩變相圖)'가 있다. 이어 5 릴 슬롯의 은혜는 막중하므로 어떠한 방법으로도 그 은혜를 갚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은 '팔비유도(八譬喩圖)'가 있다. 5 릴 슬롯의 은혜를 갚기 위해서 이 경전을 쓰고 읽으며, 삼보를 공양하며, 보시하고 복을 닦아야 한다는 '삼보공양도(三寶供養圖)'가 있다. 마지막의 '아비무간지옥도(阿鼻無間地獄圖)'는 불효를 하면 가장 무서운 아비무간지옥에 떨어지고, 이 경전을 조성하면 은혜를 갚아 5 릴 슬롯가 지옥의 괴로움을 벗어나고 쾌락을 받게 된다는 내용으로 서술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불사 도서는 언해본의 초역본 계통에 속하며, 5 릴 슬롯사, 국어학, 미술사 연구를 위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언해본으로서의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5월 29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불설대보5 릴 슬롯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불사 도서)

단행본

송일기, 『한국본 '5 릴 슬롯은중경: 언해·한글'의 판본 및 한글서체에 관한 연구』(국립중앙도서관, 2000)

논문

손성필, 「16·17세기 5 릴 슬롯정책과 5 릴 슬롯계의 동향」(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남희숙, 「조선후기 불서간행 연구: 진언집과 5 릴 슬롯의식집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주석
주1

다른 나라 글, 특히 한문으로 된 5 릴 슬롯을 한글로 풀어서 쓴 책.   우리말샘

주2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5 릴 슬롯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집필자
조명제(신라대학교 교수)
    • 항목 5 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5 릴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5 릴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