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슬롯 거물성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유적
신라 문무왕 3년(663) 신라의 김흠순과 김천존이 공격한 백제성.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백제, 신라
관련 인물
김흠순, 김천존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추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미스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미스터 슬롯(居勿城)은 신라 문무왕 3년(663) 신라의 김흠순과 김천존이 공격한 백제성이다. 미스터 슬롯을 함락하기 전에 먼저 거열성을 공격하였다. 이후 미스터 슬롯과 사평성을 공격하고 뒤에 덕안성을 공격하였다. 미스터 슬롯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논란이 있다.

목차
정의
신라 문무왕 3년(663) 신라의 김흠순과 김천존이 공격한 백제성.
내용

미스터 슬롯은 신라 문무왕 3년(663) 신라의 김흠순(金欽純, ?~?)김천존(金天存, ?~679)이 공격한 백제성의 하나이다. 미스터 슬롯을 함락하기 전에 먼저 거열성을 공격하였다. 이후 미스터 슬롯과 사평성을 미스터 슬롯하고 뒤에 덕안성을 미스터 슬롯하였다.

미스터 슬롯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논란이 있다. 미스터 슬롯의 위치는 미스터 슬롯 앞뒤로 등장하는 거열성, 사평성, 덕안성 등과의 상호 연관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미스터 슬롯은 642년대야성전투 이후 백제 땅이었다. 미스터 슬롯는 660년 사비성을 함락시킨 다음, 다시 거열성(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소재), 미스터 슬롯(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소재), 사평성(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소재), 덕안성(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을 공격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스터 슬롯의 위치에 대해서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의 청웅면으로 보기도 하고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와 장수군 접경의 거사물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성은 2년 전인 661년 3월에 신라가 두량이 · 고사비성 전투에서 패배하자 백제부흥군에 호응했던 남방의 여러 성들 가운데 중심 성들이다.

미스터 슬롯는 이들 지역을 확보함으로써 거창-남원-임실로 이어지는 백제의 남방 주요 거점을 빼앗아 백제부흥군 외곽을 포섭하면서 백제부흥군의 중심지를 압박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미스터 슬롯학중앙연구원, 2012)
김태식,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3권 왕들의 나라』(푸른역사, 2002)
井上秀雄 『譯註 三國史記』 1(1980)

논문

김병남, 「미스터 슬롯의 백제 부흥세력 공략 과정과 의미」(『한국고대사탐구』 28, 201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미스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미스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미스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