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중심 도성이자 낙동강 하구와 남해안을 잇는 교역 창구로 사용된 거점성이다. 봉황동유적, 회현리유적으로도 불린다. 윈 슬롯은 삼국시대 금관가야가 처음 축조한 것으로 전한다. 성 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유물들이 다수 출토된다. 이외에도 통일신라시대 토기와 기와를 비롯하여 고려~조선시대에 걸치는 자기편 등도 확인되고 있어 폭 넓은 시기에 걸쳐 사용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 63번길 50로 분산성의 남쪽 끝자락과 임호산으로 둘러싸인 고김해만의 한가운데 저지대에 위치한다. 윈 슬롯은 남해안으로 뻗은 능선의 끝자락이자 해반천변에 위치한 독립구릉을 감쌌으며, 동서 길이 약 130m, 남북 너비 약 30m의 낮은 언덕 위에 이루어져 있다. 전체 윈 슬롯 길이와 면적은 불명확하다.
성벽은 구릉 외곽으로 크게 타원형으로 돌려져 윈 슬롯. 그 가운데 2003년 소방도로확장공사에 앞서 실시된 발굴조사에서는 금관가야의 것으로 추정하는 성벽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조사된 성벽은 양쪽 아래에서 위로 너비를 줄여가며 다듬은 돌을 계단식으로 쌓아올려 기초를 만들고, 그 가운데에 흙을 부어가며 켜켜로 다져 수평쌓기로 하였다. 성벽의 너비는 아랫부분이 14m, 윗부분이 7m 정도였고, 가운데에 높이 2.4m 정도로 남아 윈 슬롯. 다만, 발굴조사 당시 기저부에서 5세기 후반대의 토기편이 출토되어 성벽의 축조시기를 금관가야 멸망기로 보는 견해도 윈 슬롯.
성 안에서 확인되는 시설로는 생활유적인 주거지를 비롯하여 환호, 선착장 등 과거 가야 중심지의 생활모습을 엿볼 수 있는 복합적 시설들이 윈 슬롯. 내부의 주거시설은 구릉 동북쪽의 비교적 완만한 사면에 집중 축조되었다. 그리고 서쪽 구릉 외곽에서도 고상창고와 관련된 시설들이 확인되었다. 방어시설로 볼 수 있는 환호는 구릉 중턱 해발 17~25m 지점에서 확인된다. 구릉 하단부의 것은 일부 단절된 곳이 존재하나 유사한 구시설이 동쪽 완경사지역에서도 확인되는 것에서 구릉 전체를 감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