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슬롯 머신 병촌 성결교회 ( )

목차
개신교
유적
1938년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설립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8년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설립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연원 및 변천

시카고 슬롯 머신가 설립되기 전인 1932년경 개척리에 거주하던 유경자는 강경성결시카고 슬롯 머신에 자진 입교하고 전도하였는데, 1934년 10월경부터 기도소를 설치하고 목요예배를 드리다가 1935년 병촌리에 초가 1동을 매입하면서 강경성결시카고 슬롯 머신 지시카고 슬롯 머신 형식으로 시카고 슬롯 머신를 운영하였다. 이후 1938년 5월 7일 오영필(吳永必) 목사를 중심으로 정식 시카고 슬롯 머신가 설립되었다.

1943년 12월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되었다가 광복 후 유제학, 김주옥 집사 등에 의해 재건한 뒤 1948년 6월 15일 병촌리 작촌에 새 예배당을 건립했다. 6·25전쟁이 일어나 공산군이 대전, 논산 등지로 내려왔고, 공산군은 논산군 내 반공인사 120여 명을 검거하였는데 그 가운데는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교인 김주옥(金周玉)을 비롯해 조남택(趙南澤), 정수일(鄭壽一), 김창화(金昌華), 구순희(具順姬) 등의 교인과 그들의 가족들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공산군은 이들 중에서도 ‘최고 악질 분자’로 지목된 김주옥 등 21명을 논산으로 후송하고, 남은 사람들은 4차에 걸쳐 학살하였다. 그 중 일부는 도주하였는데 다행히 탈출에 성공한 김주옥은 공산군이 물러간 뒤 학살 현장을 발굴하여 신원을 확인하였다. 피살자 120여 명 중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교인은 모두 66명이었다. 공산군은 도주에 앞서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성도 16세대 66명(남 27명, 여 39명)을 한꺼번에 흙구덩이를 파고 죽여 매장하였다. 이렇게 해서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66인 성도순교’가 알려지게 되었다.

1950년 12월 이계섭 전도사가 담임 교역자로 부임하였다. 그리고 1956년 3월 현재의 위치에 52평의 순교자기념예배당을 신축하였으며, 1959년 3월에 김주옥을 초대 장로로 장립함과 함께 기독교대한성결시카고 슬롯 머신 충남지방회에서 시카고 슬롯 머신 마당에 ‘6·25동란 순교자기념비’를 건립하였다.

1981년 5월 3차에 걸쳐 200평의 예배당을 신축하였으며, 1989년 6월 23일 교단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66명 순교자들의 정신을 기리고 널리 전하기 위해 ‘66인 순교기념탑’을 병촌시카고 슬롯 머신 뜰에 세웠다. 이 시카고 슬롯 머신는 기독교대한성결시카고 슬롯 머신 순교사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5년 5월 8일 병촌성결시카고 슬롯 머신는 6.25전쟁 당시 순교한 66명의 기독교인을 기리기 위해 시카고 슬롯 머신부지 내 1만 3천여㎡에 지상 2층 규모의 순교 및 안보기념관을 준공하였고, 그 내부에 순교의 역사와 6.25전쟁 관련 자료전시실을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믿음의 흔적을 찾아: 한국의 시카고 슬롯 머신교 유적』(한국시카고 슬롯 머신교역사연구소 편, 한국시카고 슬롯 머신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성결시카고 슬롯 머신 100년사』(서울신학대학교 성결시카고 슬롯 머신역사연구소, 2007)
『논산시지』(논산시지편찬위원회, 2005)
『시카고 슬롯 머신교대백과사전』(시카고 슬롯 머신교문사, 1982)
『한국시카고 슬롯 머신교순교사화』(김춘배, 성문학사, 1979)
『성결시카고 슬롯 머신수난기』(오영필 편, 기독교대한성결시카고 슬롯 머신 출판부, 1971)
집필자
이순자(숙명여자대학교, 복식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