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 머니 슬롯 가좌책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지방에서 군 · 현민의 호구 및 경제적 상황을 기록한 문서. 관문서.
이칭
이칭
가좌책(家座冊), 가좌성책(家坐成冊), 침기부(砧基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꽁 머니 슬롯』은 조선 후기 지방에서 군민과 현민의 호구 및 경제 상황을 기록한 문서이다. 여기에는 호주와 그 구성원에 대한 정보, 전답·가옥의 유무와 규모, 우마의 수 등이 기재되었다. 이 책은 수령이 지방 군현을 다스리기 위해서 꼭 필요한 핵심적 자료였다. 호적을 작성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고 각종 부역의 부과 및 세금 징수 등의 자료로 이용되었다. 거주민들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호적대장과 같은 보존의 의무는 없었다. 현재 『순천부서면가좌성책』·『임천군가좌성책』·『토지면가좌성명성책』·『대곡가좌』 등 정도가 남아 있다.

정의
조선후기 지방에서 군 · 현민의 호구 및 경제적 상황을 기록한 문서. 관문서.
개설

꽁 머니 슬롯(家坐冊)』은 호적을 작성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성책류 문서 가운데 하나이다. 꽁 머니 슬롯』에 기재되는 내용은 주로 주호(主戶)와 솔하(率下)의 구성원에 대한 정보, 전답(田畓)과 가옥 등 경제적 상태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었다. 꽁 머니 슬롯』은 지방에 부임한 수령이 군현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역 부과 및 부세 수취를 위한 보조 자료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편찬/발간 경우

조선시대에는 3년마다 호적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호적은 단순한 인구조사가 아니라, 부세 수취를 비롯하여 역(役) 부과·진휼·사법처리 등을 위한 기본 자료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호적을 만드는 과정에서 ‘남정성책(男丁成冊)’·‘이거성책(移去成冊)’ 등 다양한 성책류 문서가 작성되어 호적 작성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 꽁 머니 슬롯』도 이러한 성책류 문서 가운데 하나였다. 다만 꽁 머니 슬롯』은 군현 내 사정을 자세히 파악한 자료이기 때문에 호적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내용

국가의 호구 파악 및 호적 작성 과정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성책(成冊)이 따로 작성되었는데, 꽁 머니 슬롯』도 그러한 성책류 가운데 하나이다. 『갑오식성책규식(甲午式成冊規式)』에는 모두 29종의 성책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 중 가좌성책의 규정에는 통호(統戶), 주호의 직역(職役)·성명(姓名)·나이, 솔하(率下)에 있는 자(子)·제(弟)·질(姪)·고공(雇工)의 이름과 나이, 가사(家舍)와 행랑(行廊)의 칸수, 전답(田畓)의 유무 및 규모, 우마(牛馬)의 수를 기재하도록 되어 있었다. 현존하는 18세기 후반~19세기의 꽁 머니 슬롯』자료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규정이 대체로 지켜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완성된 호적과 비교할 때, 가좌책에는 호(戶)의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거주하는 가옥의 상태 및 규모, 소유했거나 차경(借耕) 중인 상태의 전답, 소유한 소·말 등 경제적 조건이 기재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꽁 머니 슬롯』은 단순히 호적을 작성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방 수령들에 의해 자신이 다스리는 군현의 읍세 파악·요역 및 군역의 징발·부세 수취·진휼 등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널리 보급된 ‘수령지침서’인 목민서에서도 꽁 머니 슬롯』에 대한 내용은 다수 언급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는 꽁 머니 슬롯』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목민심서』에서 정약용은 가좌책을 두고 “백성을 다스리는 긴요한 칼자루”라고 표현하면서, “호적(戶籍)은 비록 관법(寬法)을 쓰되, 가좌책은 반드시 핵법(覈法)을 쓸 일”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핵법’이란 군현내의 호구(戶口)를 빠짐없이 파악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정약용은 수령이 부임 초기에 이를 작성하여 통치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이렇듯 꽁 머니 슬롯』은 호적 작성의 기초자료를 비롯하여 수령이 지방 군현을 다스리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자료였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꽁 머니 슬롯』은 『순천부서면가좌성책(順天府西面家坐冊』·『임천군가좌성책(林川郡家座成冊)』·『토지면가좌성명성책(吐旨面家座姓名成冊)』·『대곡가좌(大谷家座)』정도로 그리 많지 않다. 그 이유는 꽁 머니 슬롯』이 호적을 작성하는 중간에 작성되는 ‘성책류’로서 호적대장과 같은 보존의 의무가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전래 과정에서 쉽게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꽁 머니 슬롯 후기 지방 수령에 의해 주로 작성된 가좌성책은 각 호의 호구 정보뿐만 아니라 가옥·전답 등 경제적 조건까지 파악해두고 있기 때문에 당시 해당 지역에 거주하던 지역민들의 실상을 비교적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좌책이 단순히 지방민의 현황 파악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각종 역의 징발, 부세 수취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던 만큼, 해당 지역에서의 역(役)의 징발·부세의 수취 상황과도 연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갑오식꽁 머니 슬롯규식(甲午式成冊規式)』
『역주목민심서』(정약용 지음·다산연구회 역주, 창작과비평사, 1985)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순천부서면꽁 머니 슬롯책』(1774) 분석을 중심으로」(허원영, 『역사문화연구』47, 2013)
「호명을 통해 본 19세기 직역과 솔하노비」(김건태, 『한국사연구』144, 2009)
「꽁 머니 슬롯후기 호적의 작성과정에 대한 분석」(권내현, 『대동문화연구』39, 2001)
집필자
송양섭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꽁 머니 슬롯는 자유 이용 가능한 꽁 머니 슬롯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