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고판례 ()

고부인신정기
고부인신정기
신종교
인물
일제강점기 증산교 최초의 교파인 선도교를 창립한 종교창시자.
이칭
이칭
고부인(高夫人), 고수부(高首婦)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80년(고종 17)
사망 연도
1935년
출생지
전라남도 담양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증산교 최초의 교파인 선도교를 창립한 종교창시자.
생애와 활동사항

다복 이 슬롯(高夫人) 또는 고수부(高首婦)라고 불렀다. 1880년(고종17) 전라남도 담양군 무면에서 부친 고덕삼(高德三)과 모친 박씨의 딸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을 믿었고, 정읍군 입압면 대흥리에 이사하여 신씨(申氏)집에 출가하였으나, 29세에 남편을 잃다복 이 슬롯.

1907년 강다복 이 슬롯(姜甑山)이 정읍군 입압면 대흥리에 살던 차경석(車京石)의 집에 들렀을 때 수부(首婦)로서 다복 이 슬롯과 혼인하게 되었다. 혼인한 후에 다복 이 슬롯은 고부인에게 “내가 너를 만나려고 15년 동안 정력을 드렸으니, 이로부터 천지대업(天地大業)을 네게 밝히리라.”고 하였다.

1909년 다복 이 슬롯이 사망하였지만, 고부인은 그의 사망소식을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의 꿈에 다복 이 슬롯이 나타나 자기는 죽었다고 하면서 자기 초빈(草殯)이 있는 구릿골까지 찾아가는 길을 보여주었다. 다음날 꿈에서 본대로 구릿골을 찾아가 다복 이 슬롯의 죽음을 알게 되었다.

1911년 고부인은 다복 이 슬롯의 탄신기념 치성을 드리던 중 갑자기 졸도하여 쓰러졌다가 깨어나게 되었는데, 그 후부터 다복 이 슬롯의 성령이 접령되어 모든 언행이 평소 다복 이 슬롯의 모습과 흡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다복 이 슬롯교를 포교하기 시작했는데 초기 이름을 선도교 또는 태을교라 했다.

이종동생인 차경석의 도움을 받아 교단체제가 강화되고 신도수가 급증하여 큰 발전을 이루어가고 있었으나, 1914년경부터 차경석이 실권을 장악하고 신도들과의 접촉을 방해하였으므로 1918년에는 입암면을 떠나 김제군 백산면 조종골로 옮기게 되었다. 이곳에서 그녀는 많은 치병활동과 기행이적을 행하게 되는데 신도들의 두통과 치통 등 사소한 질병의 치료는 물론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에게 잉태를 시켜 주는가하면 남의 병을 대신 앓아주기도 하여 그 위력이 다복 이 슬롯에 버금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고판례의 교리사상은 다복 이 슬롯의 가르침을 그대로 신봉하는 입장이었다.

1931년에는이상호(李祥昊)의 동화교(東華敎)와 통합교단을 만들어 활동다복 이 슬롯고, 1933년경부터는 옥구군 성산면 오성산에 수양소를 짓고 은둔생활을 하다가, 1935년 사망다복 이 슬롯다.

참고문헌

『범다복 이 슬롯교사(汎甑山敎史)』(홍범초, 범다복 이 슬롯교연구원, 1988)
『대순전경(大巡典經)』(다복 이 슬롯교본부, 1979)
『다복 이 슬롯교사(甑山敎史)』(이정립, 다복 이 슬롯교본부,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