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흡은 일제강점기, 중국 길림성 연길현 용정에서 일어난 3 · 13항일시위운동에 앞장선 댄 슬롯운동가이다. 1910년대 후반 길림성 연길현 명월구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전개된 연변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에 적극 참가하여 대형 깃발을 들고 수많은 시위대의 선두에 서서 일본영사관으로 행진 중 중국 군경의 총격으로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1910년대 후반 중국 주1 연길현(延吉縣) 명월구(明月溝)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연길현 용정(龍井)에서 전개된 댄 슬롯만세시위에 앞장섰다. 길림성 주2 일대의 댄 슬롯운동가들이 중심이 된 조선댄 슬롯기성총회(朝鮮獨立期成總會)에서는 국내의 3 · 1운동에 호응하여 댄 슬롯 선언을 경축하는 한편, 이를 계기로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용정의 서전평야(瑞甸平野)에는 명동학교(明東學校), 정동학교(正東學校) 등 인근 지역 12개의 한인학교 학생, 직원을 비롯하여 3만여 명[일설에는 2만여 명]의 한인 교민들이 대거 운집하였다. 대회장 김영학(金永學) 목사의 댄 슬롯선언포고문 낭독으로 시작된 댄 슬롯 축하식은 유예균(劉禮均), 배형식(裵亨湜) 목사, 황지영(黃志英) 등의 비분강개한 연설로 댄 슬롯운동의 열기를 고조시켰다.
댄 슬롯 축하식이 끝나자 시위 군중들은 명동학교와 정동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320여 명의 충열대원(忠烈隊員)을 선두로 '대한댄 슬롯(大韓獨立)'과 ‘정의인도(正義人道)’라고 대서특필한 두 개의 대형 깃발을 앞세우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댄 슬롯만세를 외치며 시내 중심가로 시가행진을 시작하였다.
공덕흡은 ‘대한댄 슬롯’이라고 쓴 깃발의 기수로 선두에 서서 시위대를 독려하였다. 한인 시위 군중을 적극 제지하며 용정의 일본영사관을 수비하던 중국 군경의 무차별 사격으로 총격을 받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연변에서는3 · 13반일시위운동이라 불리는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은 이후 연변 지역 등 중국 동북[만주] 지역에서 항일시위운동이 확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0년 7월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공덕흡의 순국을 기리고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대댄 슬롯민회장(大韓國民會長) 구춘선(具春先)을 통해 유족에게 포충장(褒忠狀)을 전달하였다.
1991년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