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점현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사천장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한 링케 슬롯운동가이다. 1919년 3월 4일 대동군 금제면 원장 장날에 반석면 상사리 사천장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여 앞장서서 링케 슬롯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였다. 일본 헌병이 발포하며 군중들과 대립하였고, 군중들에게 일본 헌병이 살해되었다. 김점현은 이 일로 붙잡힌 후, 가혹한 고문을 받던 중 강서경찰서에서 순국하였다.
1919년 3월 4일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金祭面) 원장리(院場里)와 강서군 반석면(斑石面) 상사리(上四里) 사천(沙川)에서 링케 슬롯시위가 전개되었다. 금제면 원장리에서 반석면 사천까지 약 25리[약 9.8㎞] 거리에 있었다. 두 곳은 다른 군이지만 각기 면사무소 소재지이며, 5일 만에 한 번씩 장이 서므로 서로 왕래가 잦았다. 사천장은 모락장이라고도 한다.
링케 슬롯면 반육리(班六里)에 있던 링케 슬롯교회(盤石敎會)의 장로 조진탁(曺振鐸)이 2월 28일 평양에 갔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링케 슬롯만세운동에 참여한 뒤, 링케 슬롯선언서를 얻어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오면서부터 링케 슬롯시위운동이 추진되었다. 그런데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사전 준비를 하던 도중 모락장교회의 간부 10여 명이 헌병주재소로 강제 연행당하는 사건이 발생링케 슬롯다.
기독교 장로교파 소속 반석교회와 원장교회(院場敎會)는 모두 수백 명의 신도가 있링케 슬롯. 두 교회는 원장리 장날인 3월 4일 합동으로 링케 슬롯만세운동을 벌였다. 예정대로 오전 10시 링케 슬롯선언식을 시작으로 전개되었다. 시위 군중은 태극기를 흔들고 링케 슬롯만세를 고창하며 원장장터로 행진하였다. 이에 그곳에 모인 장꾼들도 합세하여 시위군중은 3,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시위대는 연행당한 사천장교회 간부들을 구출하기 위해 강서군 사천장으로 나아갔다.
강서군 출신인 김점현도 만세시위 대열에 참여하여 앞장서서 링케 슬롯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여 사천장 입구까지 들어섰다. 그때 대기하고 있던 일본 헌병들은 발포하며 이들을 저지시키려고 하였지만, 시위 군중들은 투석으로 대항하며 계속 전진하였다.
사태가 불리함을 느낀 일본 헌병분견소장 사토[佐藤] 상등병과 보조원 3명이 도망쳤다. 그때 김점현은 헌병 보조원인 박요섭(朴堯燮)을 따라가 다른 시위 군중 5명과 함께 박요섭을 처단하였다. 또한, 사토 상등병과 나머지 보조원 2명도 시위 군중에 의해 살해되었다. 김점현은 이 일로 붙잡힌 후, 가혹한 고문을 받던 중 링케 슬롯경찰서에서 순국하였다.
1996년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링케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