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만월암 석불 좌상 (트 위치 슬롯 머신 )

만월암
만월암
조각
작품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만월암 만월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만월암 트 위치 슬롯 머신(滿月庵 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트 위치 슬롯 머신
지정기관
트 위치 슬롯 머신특별시
종목
트 위치 슬롯 머신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9년 05월 19일 지정)
소재지
트 위치 슬롯 머신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 29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트 위치 슬롯 머신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만월암 만월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불좌상.
개설

1999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76㎝, 무릎 너비 58.2㎝.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협시로 한 삼존불의 형태로 봉안되어 있는데, 가운데 본존 석불좌상을 제외한 좌우의 보살상은 근래에 조성된 것이다. 석불좌상은 두꺼운 트 위치 슬롯 머신 받침까지 한 돌로 깎은 형태이다. 석불좌상의 표면에는 호분이 두껍게 씌워져 있다. 1784년에 트 위치 슬롯 머신을 개금했다는 기록이 석굴 벽에 남아 있어 늦어도 1784년 이전에 조성된 상임을 알 수 있다.

역사적 변천

트 위치 슬롯 머신이 봉안되어 있는 만월암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지만, 창건과 관련한 기록 자료는 확인되지 않는다. 보덕굴(普德窟)이라는 참선굴로 알려져 오다가 1940년에 서광전(徐光前)이 중창했다. 법당과 만월보전은 2002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내용

트 위치 슬롯 머신의 얼굴은 둥근 형태로 머리에는 나발(螺髮)과 함께 정상계주(頂上髻珠), 타원형의 중간계주(中間髻珠)를 조각했다. 입은 작은 편이고 전체적으로 온화한 표정이다. 귀는 큰 편으로 어깨에 거의 닿아 있고, 목에 삼도는 호분으로 인해 확인이 어렵다.

트 위치 슬롯 머신의 오른쪽 어깨에는 대의 위에 한 벌을 더 겹쳐 입은 편삼(偏衫)이 표현되어 있어 이중착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가슴에는 수평으로 안쪽에 입은 승각기가 확인된다. 좌우로 흘러내린 옷주름은 양팔 위에서 비슷한 형태로 조각되었으며, 무릎 아래쪽의 트 위치 슬롯 머신 받침에는 조각되지 않았다.

수인은 오른손을 무릎 아래로 살짝 내리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쪽으로 향한 채 보주(寶珠)를 들고 있다. 보주로 인해 약사불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보주는 근래에 따로 조성된 것으로 원래는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트 위치 슬롯 머신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무릎이 낮은 비례와 이중착의 형식, 옷주름의 표현 등으로 볼 때 석불좌상의 조성시기는 17~18세기로 추정된다. 또, 석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는 석굴의 벽면에는 “건륭 사십구년 유월일 트 위치 슬롯 머신 개금시주(乾隆四十九年六月日佛像改金施主)”라는 글귀가 남아 있다. 이 기록을 통해 1784년에 트 위치 슬롯 머신이 개금되었음을 알 수 있고, 트 위치 슬롯 머신은 늦어도 1784년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의의와 평가

만월암 석불좌상은 조선 후기 석불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작품이다. 주로 목조트 위치 슬롯 머신이 제작되었던 17~18세기에 조성된 흔하지 않은 석불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개금 기록을 통해 대략적인 조성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트 위치 슬롯 머신특별시(문화재청·(재)불교문화재연구소, 201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민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트 위치 슬롯 머신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트 위치 슬롯 머신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