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졸참나무

식물
생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이칭
이칭
굴밤나무, 가둑나무, 당재잘나무, 재리알, 재잘나무, 재량나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개설

전국에 분포하며참위쳐 3 슬롯 모드과 종류 중 대표적인 종이다. 굴밤위쳐 3 슬롯 모드, 가둑위쳐 3 슬롯 모드, 당재잘위쳐 3 슬롯 모드, 재리알, 재잘위쳐 3 슬롯 모드, 재량위쳐 3 슬롯 모드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이다. 학명은 Quercus serrata Murray이다.

생태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달걀형 또는 긴 타원 형태의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7∼15㎝, 너비는 3∼8㎝이다. 잎이 어린 것은 털이 있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측맥은 7∼12쌍이 있고 엽병은 길이가 1∼2.5㎝이다. 꽃은 암수한몸 양성화 또는 단성화로 작은 가지의 밑부분에서 5월에 꽃이 핀다.

수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밑으로 처지고 3∼12개의 수술과 5∼8개로 갈라진 꽃피가 있다. 암꽃은 작은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6개로 갈라진 꽃피와 2∼7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견과는 작고 긴 타원형이다. 갈참위쳐 3 슬롯 모드에 비해 잎이 작고 뒷면은 희지 않다. 또 누운 짧은 털과 별모양의 털이 있고 톱니가 예리하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참위쳐 3 슬롯 모드류 열매들은 모양이 엇비슷하여 엄밀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상수리위쳐 3 슬롯 모드 열매만을 상수리라 하지는 않고, 참위쳐 3 슬롯 모드류 열매를 통틀어서 도토리 혹은 상수리라고 하였다. 졸참위쳐 3 슬롯 모드는 잎이 참위쳐 3 슬롯 모드 종류 중에서 가장 작은데, 장기판에서는 졸(卒)이 맨 앞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다가 위급할 때 희생되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도토리 중에서 졸참위쳐 3 슬롯 모드의 열매는 작고 볼품이 없지만 가장 떫은 맛이 없다고 한다. 참위쳐 3 슬롯 모드류는 일반적으로 그 열매를 도토리 또는 굴밤이라 하여 산간지방의 겨울식량 또는 흉년이 든 해에 구황식품으로 옛날부터 우리 식생활에 식량자원으로 크게 공헌하였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버섯골목, 숯재 등으로 쓰인다. 위쳐 3 슬롯 모드껍질에서 타닌을 추출해 염료로 쓴다. 현재 목초액과 천일염을 이용하여 식염을 제조하는 방법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수목추출액 등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반도 민속식물』(국립수목원, 2010∼2012)
『한국의 위쳐 3 슬롯 모드』(김진석·김태영, 돌베개, 2011)
『식별이 쉬운 위쳐 3 슬롯 모드도감』(국립수목원, 지오북, 2009)
『위쳐 3 슬롯 모드식물명고』(이우철, 아카데미서적, 1996)
『위쳐 3 슬롯 모드민속식물』(최영전, 아카데미서적, 1991)
생명자원정보서비스(www.bri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위쳐 3 슬롯 모드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위쳐 3 슬롯 모드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