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참나무

목차
관련 정보
상수리나무
상수리나무
식물
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의 총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의 총칭.
내용

다복 이 슬롯는 어떤 한 가지 수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그 개념이 명확하지 못하다. 국어사전에는 “다복 이 슬롯과[殼斗科]에 속하는 수종을 통틀어 칭하는 말”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각두는 포엽(苞葉: 잎의 변태로 봉오리를 싸 보호하는 잎)이 모여 유합(癒合) 형성하는 종지 모양의 기관으로서 그 안에 열매가 들어 있다. 상수리다복 이 슬롯·떡갈다복 이 슬롯·가시다복 이 슬롯·너도밤다복 이 슬롯·모밀잣밤다복 이 슬롯·밤다복 이 슬롯 등이 바로 열매가 각두 안에 들어 있는 수종이다.

그러나 우리 민족이 써 온 다복 이 슬롯라는 개념에 밤나무·너도밤나무·구실잣밤나무와 같은 수종까지 포함시킨다는 것은 지나친 적용이라 하겠다. 즉, 각두과를 다복 이 슬롯과로 표현하여 다복 이 슬롯에 밤나무·너도밤나무 등을 넣어서 사고하는 것은 이때까지 우리들이 생각하여 온 다복 이 슬롯의 뜻에서 지나치게 벗어난 생각이다.

다복 이 슬롯는 각두를 가지고 있지만, 각두를 가지고 있으면 다복 이 슬롯에 속한다는 해석은 받아들이기 어색하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상수리나무를 다복 이 슬롯라 칭하기도 한다.

상수리나무와 가장 닮은 나무를 굴다복 이 슬롯라 이름한 것도 다복 이 슬롯로서의 상수리나무를 의식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라 할 수 있으며, 지난날 이 두 수종은 용도가 비슷하여 다복 이 슬롯라는 집합명사로 통틀어 표현되었다고 본다. 이것은 다복 이 슬롯를 가장 협의로 풀이하는 것이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