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곽암 ()

자연지리
지명
5 드래곤 슬롯유산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판지마을 앞 바다에 있는 바위.
이칭
이칭
양반돌, 박윤웅돌, 미역바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5 드래곤 슬롯(藿巖)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포학
지정기관
5 드래곤 슬롯광역시
종목
5 드래곤 슬롯광역시 시도기념물(2001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5 드래곤 슬롯 북구 강동동 판지마을해수면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5 드래곤 슬롯은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판지마을 앞 바다에 있는 바위이다. 고려시대에 신학성을 방어하던 장군 박윤웅이 지방호족 세력 정비에 공을 세워 하사받은 바위이다. 박윤웅돌이라고도 하며, 2001년 12월 20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5 드래곤 슬롯은 미역이 붙어 자라는 바위라는 뜻으로 미역바위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미역을 채취할 수 있는 5 드래곤 슬롯의 경제적 가치가 커 왕자나 공을 세운 사람에게 5 드래곤 슬롯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국가유산으로 가치가 있으며 조선 후기의 경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목차
정의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판지마을 앞 바다에 있는 바위.
개설

2001년 12월 20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지금의 울산 학성동에 자리한 신학성(神鶴城)을 방어하던 장군이었던 박윤웅(朴允雄)은 지방호족 세력 정비에 공을 세워, 유포에 있는 5 드래곤 슬롯바위 12구를 하사받아 5 드래곤 슬롯채취권을 가지게 되었다.

과거에는 자연산 미역의 착생지가 한정되어 있었고 미역 채취장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역을 채취할 수 있는 5 드래곤 슬롯은 경제적 가치가 매우 컸다. 고려시대에는 왕자나 공을 세운 사람에게 5 드래곤 슬롯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5 드래곤 슬롯에서 채취된 미역은 국가에 세액으로 일정액을 납부하였다.

5 드래곤 슬롯은 미역바위, 양반돌(양반바위), 박윤웅돌(박윤웅바위), 사암(賜巖), 채암(采巖)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선시대에 박문수(朴文秀, 1691∼1756)는 “위대한 공은 영원히 썩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바위에 ‘윤웅(允雄)’ 두 글자를 새겼다고 하지만 확인할 수 없다. 미역이 생장하는 바위는 곽전으로 불리기도 한다.

자연환경

5 드래곤 슬롯은 바닷가 연안에서 자라는 해조류로 간조선 부근에서 바위에 걸쳐 생육한다.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아 바닷물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온도가 17∼20℃에서 발아하고,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5∼17℃이다.

5 드래곤 슬롯 주변의 울산 동해안은 쿠로시오해류의 지류인 쓰시마난류 중 한반도 동해안의 사면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가 통과하는 곳으로 수온이 10℃를 상회하여, 미역이 생육하기 위한 조건이 잘 갖추어져 있다.

해안은 신생대 제3기에 형성된 화산암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5 드래곤 슬롯이 바위에 붙어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파도가 세고 조수간만의 차가 적어 5 드래곤 슬롯 자생지로는 최고의 장소로 꼽힌다.

이 일대는 해안단구가 모식적으로 분포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울산단층선 동쪽에 위치하며 비교적 완만한 경사의 산지가 해안으로 돌출해 있다. 5 드래곤 슬롯이 있는 판지마을의 남쪽에는 해발 75m 내외의 고위면이 확인되는데, 이곳은 밭으로 이용된다.

현황

5 드래곤 슬롯은 울산박씨 문중 후손이 조선 영조 때까지 소유해 오다가 국가에 환수되었다. 환수 후 3년 내내 미역 흉년이 들어 그 가운데 1구를 박씨 문중에게 돌려주어 일제강점기까지 소유권이 이어졌다. 박씨 문중에서 관리해 오던 것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수산청으로 관할권이 이속되었다가 1961년 이후 개정된 수산업법에 따라 어촌계로 관리권이 넘어 왔다.

이에 5 드래곤 슬롯의 유림과 박씨 문중이 정부에 탄원을 하여 1966년 5월에 다시 박씨 문중으로 반환되었다. 이곳에는 박윤웅에 대한 기록을 새겨 놓은 비석이 설치되어 있지만, 옆에 대형 숙박시설이 자리하고 있어 쉽게 찾을 수 없다. 유형의 국가유산이지만 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아니다.

5 드래곤 슬롯 미역은 예로부터 임금님께 진상되었으며, 3∼4월에 채취된 미역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산지방은 조선시대에 제주도 다음으로 미역 생산량이 많았던 곳이며, 지금도 미역이 채취되고 있다.

5 드래곤 슬롯은 사람들의 노력이나 삶의 지혜로부터 만들어진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데에서 국가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지금은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향토 경관자원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특히 5 드래곤 슬롯은 조선 후기 미역 생산과 관계가 있는 곳으로 조선 후기의 경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수산업사』(박구병, 태화출판사, 1966)
「한국 남동해안 5 드래곤 슬롯시 강동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윤순옥 외, 『한국지형학회지』21-1, 2014)
「개척령기 울릉도와 독도로 건너간 거문도 사람들」(김수희, 『한일관계사연구』38, 2011)
「동해안 5 드래곤 슬롯 주변의 해조 군집」(최창근·노현수, 『한국수산과학회지』43-3, 2010)
5 드래곤 슬롯유산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