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심바 슬롯 관계화 ()

목차
문자
개념
관형절 안의 명사(구)가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동일하여 공범주로 실현되는 음운현상. 관계관형화.
이칭
이칭
관계관형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형절 안의 명사(구)가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동일하여 공범주로 실현되는 음운현상. 관계관형화.
개설

카 심바 슬롯화 어미와 결합한 카 심바 슬롯절 안의 어떤 명사(구)가 자신이 나타날 위치에 공범주(empty category)로 실현되면서 그것이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공지표(co-index) 되는 현상이다.

내용

문장이 ‘-은, -을’과 같은 카 심바 슬롯화 어미와 결합하여 절을 이루어, 뒤에 오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통사적 절차를 카 심바 슬롯화라 한다. 일반적으로 카 심바 슬롯화는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카 심바 슬롯절의 한 성분으로 상정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관계화’와 ‘보문화’로 나뉜다. 관계화는 관계카 심바 슬롯화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계화 구성은 카 심바 슬롯절 안의 어떤 명사(구)와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동일 지시인 경우이고, 보문화 구성은 동일 지시가 아닌 경우이다.

예를 들어, ‘내가 읽은 책은 참 재미있더라.’에서 ‘내가 읽은’은 뒤에 오는 명사 ‘책’을 수식하는 카 심바 슬롯절이 된다. 여기에서 수식을 받는 명사 ‘책’은 ‘내가 책을 읽은’과 같이 카 심바 슬롯절 내부의 한 성분이 된다. 이와 같이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그 카 심바 슬롯절 내부의 한 성분이 되는 구성을 관계화 구성이라 한다.

반면, ‘네가 책을 읽은 사실이 놀랍다’에서 ‘네가 책을 읽은’은 뒤에 오는 명사 ‘사실’을 수식하는 카 심바 슬롯절이 된다.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 ‘사실’은 카 심바 슬롯절 내부의 성분이 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카 심바 슬롯절의 어떤 성분도 관련이 없는 구성을 보문화 구성이라 한다.

관계화는 카 심바 슬롯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공지표(co-index)되는 카 심바 슬롯절 내부의 명사(구)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역할에 따라 결정된다. 관계화 가능성의 정도를 보면, 주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언제나 관계화가 가능하며 목적어 역시 관계화가 잘 되는 편이다. 그 다음은 ‘부사어(NP:명사구)에, NP에게, NP로, NP에서)>부사어(NP와)>보어>부사어(NP보다, NP처럼)’의 순서로 가능성 정도를 정리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어 통사론』(권재일, 민음사, 2000)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허웅, 샘 카 심바 슬롯사, 1999)
『국어 문법의 탐구Ⅰ-국어 통사론의 문제-』(남기심, 태학사, 1996)
『국어학 사전』(한글 학회, 1995)
『표준 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93)
「국어학의 이해:카 심바 슬롯화」(이필영, 『새국어생활』14-3, 2004)
집필자
윤혜영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카 심바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카 심바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