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무용극대본집 ()

무용
문헌
최승희의 장막 민족 무용극을 수록하여 1958년에 간행한 예술서. 대본집.
이칭
이칭
최승희 무용극 대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최승희의 장막 민족 무용극을 수록하여 1958년에 간행한 예술서. 대본집.
개설

「슬롯 스 캐터극대본집」에는 네 개의 장막 민족 슬롯 스 캐터극 「반야월성곡」(3막 4장), 「사도성의 이야기」(5막 6장), 「맑은 하늘 아래서」(4막 9장), 「운림과 옥란」(4막 8장)이 실려있다. 첫 장막 슬롯 스 캐터극인 「반야월성곡」이 1949년에 발표된 이후 「사도성의 이야기」는 1954년, 「맑은 하늘 아래서」는 1955년 그리고 「운림과 옥란」은 1958년에 각각 발표되었다.

서지적 사항

1958년 조선예술출판사에서 펴낸 최승희 작 「슬롯 스 캐터극대본집」은 총 205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슬롯 스 캐터극 대본집에 실린 작품의 주된 내용은 민족의 독립과 사회적 해방을 위해 싸우는 조선 인민의 투쟁을 다루고 있다.

슬롯 스 캐터극 극본은 희곡이나 가극 대본집에서처럼 대사와 가사로 구성되기 보다는 인물의 성격, 관계, 주변환경 및 상황 등에 관한 묘사가 주가 되며, 안무가의 토로 또는 미학적 평가도 서술된다. 또한 지문으로 때, 곳, 인물들에 대한 설명 대신에 서사시, 시나리오, 소설 같은 기법으로 외적인 형상을 서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슬롯 스 캐터극대본집」에는 각 작품마다 북한에서의 공연 사진을 함께 싣고 있어 자료적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또한 북한에서의 슬롯 스 캐터극 대본집의 집필은 슬롯 스 캐터극 원본 또는 슬롯 스 캐터극 극본이라는 새로운 문학형태를 창조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슬롯 스 캐터극 대본집』(최승희, 조선예술출판사,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슬롯 스 캐터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슬롯 스 캐터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