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버스에 유채. 세로 112㎝, 가로 193㎝. 중앙공무원교육원 소장. 1939년 일본 데이코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帝國美術學校]에 입학한 박상옥은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와 일본 이과전(二科展)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놀고 있는 어린 아이들을 소재로 향토적 서정을 표현했던 화가이다.
해방 이후 경기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서 「소와 목동」으로 특선을 수상하고 이듬해 1954년 제3회 대한민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서는 「한일(閑日)」로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일약 화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 써 붙여진 대문 앞에서 어린이들이 토끼를 보면서 놀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이 작품은 햇살이 비친 노란색 땅과 청색, 주황색, 초록색 등 아이들이 입고 있는 다양한 색감의 옷에서 따듯한 봄의 계절감을 드러낸다.
1939년 그의 이과전 입선작인 「유동」과 1942년작 「한정」은 이 작품의 소재와 구도의 원형이 된 작품이다. 어린 아이들의 한가로운 정경, 검게 그을린 피부의 투박한 아이들의 모습에서는 이인성, 김중현 등 당시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를 중심으로 활약한 향토색 작가들의 영향도 보인다.
해방 이후 개최된 대한민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서 즐겨 그려진 향토적 소재의 작품들이 반복 제작되었다. 박상옥은 이후에도 향토적 서정과 추억을 상기시키는 목가적 분위기의 작품들을 선보이며 일제강점기부터 지속된 향토주의적 경향을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