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진달래

언론·방송
문헌
1953년에, 일본의 오사카 조선 시인 집단에서 김시종 · 정인 등 재일 조선인 젊은 시인들이 발행한 잡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3년에, 일본의 오사카 조선 시인 집단에서 김시종 · 정인 등 재일 조선인 젊은 시인들이 발행한 잡지.
개설

김시종, 정인, 양석인 등 재일슬롯 스 캐터인 젊은 시인들에 의해 1953년 2월에 창간되어 1958년 10월까지 총 20호가 발행되었다. 이후 『진달래』의 뒤를 잇는 『갈리온』·『원점』·『황해』가 간행되었으나 『갈리온』은 3호, 『원점』과 『황해』는 각각 1호에서 종간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창간호부터 14호까지는 2~3개월 간격으로 발행되었고, 표지에는 한글 ‘진달래’가 새겨져 있다. 15호부터는 한글이 아닌 ‘진달래’ 음을 일본어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그 발행 간격도 3개월에서 5개월까지로 벌어진다. 『진달래』의 방향성을 둘러싼 정치적 분란이 있었기 때문이다. 창간호에는 ‘진달래’라는 시가 실려 있고, 여기에 진달래는 ‘슬롯 스 캐터의 산야에서 가장 많이 피는 꽃’이며 ‘슬롯 스 캐터의 국화’라는 설명이 딸려 있다. 김시종은 『진달래』에 대해서 당시 미국과 싸우던 북한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문학의 장이었다라고 말했다. 1950년대라는 혼란의 시대에서 재일슬롯 스 캐터인 시인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학운동이 『진달래』를 통해 전개되었다.

서지적 사항

이 잡지는 손으로 쓰여 등사 인쇄된 것으로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은 ‘환상 시집’이었으나, 2008년 11월에 슬롯 스 캐터의 불이출판(不二出版)에 의해 복각본이 간행되었다.

내용

『진달래』는 반미, 민족주의의 투쟁 시와 더불어 재일슬롯 스 캐터인의 일상 시 등을 싣고 있다. 시뿐만 아니라 1호부터 6호에서 마련된 ‘안테나’는 문학 장르가 표현하기 힘든 재일슬롯 스 캐터인의 일상에 관련된 뉴스를 다루고 있다. 4호, 11호에서 보이는 르포 형식의 글과, 15호, 17호에서 보이는 조국문화를 주제로 한 글들은 『진달래』가 문학동인지의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점점 재일슬롯 스 캐터인 내부와 외부의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이는 태도를 보여준다. 조국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혼란의 1950년대를 살아간 재일슬롯 스 캐터인의 지향점과 고민의 흔적이 담겨 있다. 7, 8, 9호에서는 ‘국어작품란’을 마련해 한글 시 짓기를 시도하고 있으며, 13호와 14호에서는 ‘국어 작품’을 다수 게재하는 등 ‘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 재일슬롯 스 캐터인의 정체성을 정립하려던 노력과 그 좌절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반미와 민족주의 투쟁을 통해 일본만을 시야에 두지 않는 세계사적 조망이 당시의 다른 재일슬롯 스 캐터인 시동인지와 차이를 보인다. 해방 후 최초로 재일슬롯 스 캐터인으로서 일본에서 살아가는 의미를 문학의 영역에서 물으면서, 재일슬롯 스 캐터인의 독자적인 주체성을 표출한 잡지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在日」と50年代文化運動』(ヂンダレ研究会編, 人文書院,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슬롯 스 캐터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슬롯 스 캐터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