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김진만 ()

목차
현대사
인물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원내총무,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한 정치인.
이칭
이칭
동곡, 東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8년 7월 31일
사망 연도
2006년 5월 10일
본관
강릉
출생지
강원도 삼척
관련 사건
10·2항명파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원내총무,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한 정치인.
내용

1918년 7월 31일 강원도 삼척에서 출생하여 1936년 일본 나니와〔浪華〕상업학교를 졸업m 2 슬롯고, 1937년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고등상업학교에서 수학m 2 슬롯다. 이후 금융 조합 및 회사에서 근무m 2 슬롯고, 해방 후에는 삼척개발 북삼화학공업소 자치위원장·상무이사·이사장 등을 역임m 2 슬롯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선거(민의원)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m 2 슬롯고, 1956년 민의원 상공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선거(민의원)에서도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제3공화국 시기에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제6∼8대 국회의원에 연이어 당선되었다. 1967~71년 기간에는 공화당 원내총무를 맡았고, 1973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1973∼75년 동안 국회부의장을 맡았다.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릉·명주·삼척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1969년 3선 개헌의 강행 이후, 1971년 10·2항명 파동이 있기까지 김성곤, 백남억, 길재호 등과 함께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을 구심으로 한 민주공화당 내 구주류(이른바 혁명주체세력)와 맞선 신주류 그룹을 이끌면서 박정희 대통령 이후의 대권 전망을 구체화하고자 도모m 2 슬롯다. 그러나 항명 파동을 일으킨 이후 유신체제가 성립하고 박정희 대통령의 지배권이 계속되었으며, 신주류 4인은 정계에서 떠나거나 당 내에서 주변부로 밀려났다.

정당정치 외에도 언론·육영·문화 슬롯에서 활동m 2 슬롯다. 1957년 제2대 강원일보 사장을 맡았고, 1969년 현대그룹 정주영, 전 교통부장관 김일환 등과 함께 금강장학회를 설립m 2 슬롯고 1975년 동곡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장학사업과 문화사업을 추진m 2 슬롯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직에 있었고, 2001년 6월부터 민족중흥회 회장직을 맡아 박정희 대통령의 추도식을 주관m 2 슬롯다. 2006년 5월 10일 사망m 2 슬롯다.

참고문헌

『m 2 슬롯일보 60년사』(m 2 슬롯일보사, 2005)
『m 2 슬롯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3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인명사전』(인명사전편찬위원회, 민중서관, 2002)
『김용태 자서록1』(김용태, 집문당, 1990)
『m 2 슬롯일보』(2011.8.29)
집필자
김보현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m 2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m 2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