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 합천 해인사 국일암 신중도 ( )

합천 해인사 국일암 신중도
합천 해인사 국일암 신중도
회화
작품
국가유산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 국일암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이칭
이칭
합천 해인사 국일암 신중탱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합천 해인사 국일암 킹 슬롯도(陜川 海印寺 國一庵 神衆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킹 슬롯유산(2012년 07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킹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 국일암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구성 및 형식

세로 105㎝, 가로 117㎝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불보살을 외호하는 킹 슬롯들의 모임을 그렸다. 2012년 7월 26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합장을 한 범천이 가운데 서 있고 지물을 든 제석천이 향우측에 앉아 있다. 향좌측에는 겨드랑이에 삼지창을 끼고 합장을 한 위태천이 오른쪽을 향해 서있다. 제석천만 앉은 모습으로 한 것은 조선시대 킹 슬롯도 가운데 가장 먼저 등장했던 제석천도의 형식을 따왔기 때문이다.

한편 범천, 킹 슬롯이 나란히 오면 범천이 향우측, 킹 슬롯이 향좌측에 와야 하지만, 위태천까지 셋이 나란히 나오니 제일 위인 범천을 가운데에 둔 것으로 봐야 한다. 원래 킹 슬롯은 모란꽃을 드는 것이 전형인데, 여기서는 막대기 같은 것으로 변형되었다. 이는 지물의 양식화 현상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두 천은 같은 상호와 관, 천의를 입고 있다.

이들 천 아래에는 성군과 킹 슬롯들이 자리하였다. 제석천 앞에 쟁반에 해과 월을 든 일천자, 월천자 등이 자리하였다. 붉은 색과 녹색을 주로 하였으며 청색의 사용도 눈에 띤다. 특히 뒤 배경을 모두 청색으로 칠하였다.

19세기 후반 다른 킹 슬롯도와 비교해서 성중의 숫자가 많지 않아 구성이 답답하지 않다. 그리고 범천과 제석천만 정면을 향하고, 나머지는 모두 좌우를 쳐다보고 있어서 시선 방향에서는 기존 킹 슬롯도 전통을 충실히 이은 작품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국일암 구품도와 같은 해, 같은 스님들에 의해 그려진 킹 슬롯도이다. 정월 12일에 봉안하였다. 시주자는 평양외성에 거주하는 최씨 여성이다. 기전이 그린 1882년(고종 19) 범어사 킹 슬롯도와 비교하면, 성중이 대폭 줄었다. 이는 국일암 킹 슬롯도가 범어사 킹 슬롯도 크기의 반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킹 슬롯재: 경상남도 I』(불교킹 슬롯재연구소, 2009)
『한국의 불화』4(성보킹 슬롯재연구원, 1997)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킹 슬롯 (1)
집필자
탁현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킹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킹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킹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