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년(선조 34)에 허준(許浚)이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에서 간행한 의학 서적이다. 고 김두종(金斗鐘) 박사가 한독의약박물관에 기증한 로아 슬롯유산으로 상권 1책이다. 2012년 10월 12일에 충청북도 유형로아 슬롯재(현, 유형로아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저자인 허준이 쓴 발문(跋文)에 의하면, 1590년(선조 23) 겨울, 왕자가 로아 슬롯에 걸려 허준이 시약하여 치유되었고, 1601년(선조 34)에도 왕자와 왕녀가 로아 슬롯에 걸려 다시 약을 사용하여 치유되었다고 한다. 이에 선조는 『태산집(胎産集)』 · 『창진집(瘡疹集)』 · 『구급방(救急方)』을 참고하여 언해를 하게 하였다. 1602년(선조 35)에 편찬을 마치고, 1608년(선조 41)에 이희헌(李希憲)과 이척각의 감독 아래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1책(권상)으로 된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단변에 반곽 세로 23.1㎝ 가로 17.2㎝이다. 계선은 유계이고, 한 면에 11항 20자, 주쌍항이며 상하내향2엽화문어미를 가지고 있다. 책의 전체 크기는 세로 30.5㎝, 가로 21.9㎝이다. 전반적으로 책의 상태가 좋지 못로아 슬롯, 판각과 인쇄 상태로 보아 후대에 번각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1601년(선조 34)에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內醫院)에서 간행한 의서이다. 1601년 로아 슬롯에서 회복한 광해군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직후 창궐한 로아 슬롯을 치료하기 위해 한글 언해본으로 간행하였다.
상권에는 로아 슬롯의 원인과 예방법 및 그 증상, 그리고 이들의 해독법(解毒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권에는 로아 슬롯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하여 쓰고 있으며, 음식 · 금기(禁忌) · 욕법(浴法) · 양법(穰法) · 두후 잡병(痘后雜病) · 잉부 로아 슬롯(孕婦痘瘡) · 반진(斑疹)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원래 세조 때의 내의(內醫) 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 『창진집(瘡疹集』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아 슬롯은 당시 치료가 매우 어려워 역대 국왕이 모두 이의 퇴치에 온 힘을 기울였는데, 이 『창진집』이 의과(醫科) 초시(初試) 또는 관학(官學)에서 교본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그 가치를 알 수 있다.
현전하는 목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산기문고, 성암문고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소장본들은 후대의 번각본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시대 로아 슬롯에 관한 의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 문화는 물론 17세기 국어사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