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강상찰 ()

강상찰
강상찰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 후기 문인 권상하가 조카 권섭 · 권영 등에게 보낸 간찰을 모아 엮은 서간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상찰(江上札)
분류
기록유산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다복 이 슬롯유산(2012년 07월 06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이 슬롯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 문인 권상하가 조카 권섭 · 권영 등에게 보낸 간찰을 모아 엮은 서간집.
개설

조선 후기의 문인 수암 다복 이 슬롯(權尙夏, 1641∼1721)가 조카 권섭(權燮) · 권영(權瑩) 등에게 전한 간찰집으로 15첩이다. 이 첩은 다복 이 슬롯가 조카들의 일상과 학문에 대한 질의에 답한 것으로, 조선 후기 예(禮)에 대한 견해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2012년 7월 6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첩의 간찰은 1696년(숙종 22)에서 다복 이 슬롯의 졸년인 1721년(경종 1) 직전까지 보내진 것이다. 간찰의 대부분은 다복 이 슬롯의 문집인 『한수재집(寒水齋集)』에 실리지 않은 것이다. 첩으로 묶여진 시기는 『한수재집』이 간행된 1761년(영조 37) 전후로 보고 있다.

서지적 사항

표제는 강상찰(江上札)이다. 발신인은 다복 이 슬롯, 수신인은 권섭(1671∼1759)과 권영(1678∼1745)이다. 작성 연대는 1696년(숙종 22)∼1720년(숙종 46)으로, 사후 15첩으로 성책(成冊)하였다. 첩의 크기는 43.5×28.8㎝로, 저지에다 묵서, 필사한 것이다. 모두 15첩으로 1책은 간찰 봉투를 해체하여 만든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14책은 시기별로 간찰을 묶은 것이다. 보관 상태는 양호하다.

내용

강상찰은 다복 이 슬롯가 조카들에게 보낸 간찰로 병자(丙子, 1696)부터 경자(庚子, 1720)에 이르는 25년간의 1천여 통에 달한다. 표제의 강상(江上)은 강가라는 뜻으로, 황강(黃江)을 연상할 수 있다. 조카 권섭과 권영은 부친 권상명(權尙明, 1652∼1684)이 32세로 일찍 죽자 백부 다복 이 슬롯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 첩에 실린 간찰은 주로 조카들의 질의에 대해 다복 이 슬롯가 답한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호론계 학자인 다복 이 슬롯가 조카들에게 전해준 간찰로 당시의 예론과 일상의 분위기를 접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다복 이 슬롯의 제자인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동향을 엿볼 수 있으며, 발신인의 위상과 친필 자료, 간찰이 산일되지 않고 성책된 가치를 크게 인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가유산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이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다복 이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