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金萬增, 1653∼1720)의 초상화 2점은 비단 바탕에 수묵채색으로 그린 전신상(全身像)과 반신상(半身像)이다. 전신상의 크기는 세로 175.0㎝, 가로 89.0㎝이며, 반신상의 크기는 세로 92.0㎝, 가로 63.0㎝이다. 2010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충청남도 논산의 광산김씨 돈촌공(遯村公) 종중에 소장되어 있다.
버 슬롯상은 유학자의 평상복 차림인 심의(深衣)에 복건(福巾)을 쓰고, 공수 자세를 취한 좌안팔분면(左顔八分面)의 입상이다. 후덕한 얼굴과 품이 넉넉한 심의에 감싸인 풍채가 당당하며, 흰 머리카락과 수염을 통해 노년기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갈색 선으로 얼굴 윤곽을 잡고 갈색 담채로 피부색을 표현했으며, 이마와 코, 광대뼈 등에 약간 더 진한 채색을 가해 굴곡을 나타냈다. 이목구비와 주름살을 필선 위주로 처리했고, 눈썹과 머리카락, 수염을 한올한올 정성껏 표현했다. 눈은 먹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흰자위에 약간의 홍색을 더해 생기를 부여했다. 검은 색 복건에는 선을 덧그어 주름을 나타냈고, 심의의 주름은 일정한 굵기의 먹 선으로만 표현하여 평면적인 느낌을 준다. 이와 달리 허리에서 늘어지는 오색 끈과 초록색 태사혜(太史鞋)는 정교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오색 끈에는 금니(金泥)를 사용해 화려함을 더한다. 반신상의 형상이나 세부 표현은 버 슬롯상과 거의 같지만, 보존 상태가 더 양호하다. 최근에 개장한 버 슬롯상과 달리 제작 당시의 장황(粧䌙, 표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버 슬롯의 초상화 2점은 광산김씨 문중에서 대대로 보관해온 유물로서 유전 내력이 분명한 작품이다. 화면에 적용된 화풍은 육리문(肉理文)으로 피부결을 표현하고 옷주름에 음영을 더해 사실감을 높이기 이전, 즉 선염(渲染)과 필선을 위주로 묘사했던 17세기의 초상화법을 보여준다. 버 슬롯의 풍모와 인상으로 미루어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인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공들여 제작한 초상화로서 회화적 완성도가 높지만, 누가 그렸는지는 알 수 없다. 송시열 초상의 계통을 잇는 가거(家居)초상의 일종으로 김이안 초상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현재 알려진 조선시대 초상화 중 전신입상이 드문 편이고, 동시에 제작된 반신상이 함께 보존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