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pci 슬롯 확인 김홍도 필 산수인물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에 김홍도가 그린 산수인물화.
이칭
이칭
애내일성(欸乃一聲)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 필 산수인물도(金弘道 筆 山水人物圖)
분류
유물/일반회화/리눅스 pci 슬롯 확인화/리눅스 pci 슬롯 확인화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리눅스 pci 슬롯 확인유산(2012년 05월 17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리눅스 pci 슬롯 확인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김홍도가 그린 산수인물화.
구성 및 형식

「산수리눅스 pci 슬롯 확인화(山水人物畵)」는 ‘애내일성(欸內一聲)’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28.5㎝, 가로 36.5㎝이다. 부산박물관 소장품이며, 2012년 5월 1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원(畵員)으로 꼽히는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金弘道, 1745∼1806 추정)가 그린 「산수인물화」로, 화면은 거대한 절벽과 폭포, 그리고 배를 탄 어부들로 구성되었다. 오른쪽 여백에 당나라 시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어옹(漁翁)」의 한 구절, “(어부의) 탄식 소리에 산수가 짙푸르다(欸內一聲山水綠)”가 묵서되어 있다. 그 아래 ‘단구(丹邱)’라는 관서(款書)가 있어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의 말년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말미에는 이름과 자(字), 즉 ‘홍도(弘道)’와 ‘사능(士能)’을 새긴 두 개의 인장이 찍혀 있다.

화면은 거대한 절벽과 3척의 배가 떠있는 수면으로 크게 이분(二分)되는데, 거친 하엽준(荷葉皴: 바위나 언덕의 표면을 연잎의 잎맥처럼 표현하는 기법)과 앙상한 가지가 무성한 잡목 표현에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의 개성적인 화풍이 드러나 있다. 이와 달리 잡목 뒤편의 폭포 부분에는 연한 먹을 사용해 거리감을 조성하였다. 또 배와 이목구비를 살린 인물들은 정돈된 필선으로 간결하게 특징을 잡아 묘사하였다. 흐르는 물결에 몸을 내맡긴 듯한 세 척의 배에 4명의 인물이 나누어 타고 있는데, 그 자세가 어부라기보다는 유유자적 한때를 보내는 선비의 분위기를 풍긴다.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는 만년기에 이와 같이 어부를 등장시키는 관념적 산수인물화를 많이 그렸고, 널리 애송되는 한시를 화제(畵題)로 한 시의도(詩意圖)를 다수 제작하였다. 이 「산수인물화」도 유종원의 시구를 회화적으로 변용하여 시화일치(詩畵一致)를 추구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의 자신감 넘치는 필치와 문학적 서정성이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당시 화단에 정착된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 경향성을 엿보게 해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이 「산수인물화」는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가 말년에 즐겨 그린 시의도의 하나로 화면 구성과 세부 표현에 그의 독창적인 화풍이 잘 드러나 있다. 여백에 쓴 시구를 통해 화제의 연원이 파악되고, ‘단구’라는 서명이 제작시기를 암시하는 등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의 회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부산의 리눅스 pci 슬롯 확인재』(부산광역시, 2013)
『단원 리눅스 pci 슬롯 확인도 연구』(진준현, 일지사, 1999)
국가유산청(www.khs.go.kr)
부산시 리눅스 pci 슬롯 확인관광(tour.busan.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리눅스 pci 슬롯 확인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리눅스 pci 슬롯 확인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