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가사노동요 ()

국악
개념
집안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집안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개설

슬롯 스 캐터요의 하위 분류인 농업슬롯 스 캐터요, 어업슬롯 스 캐터요, 광업슬롯 스 캐터요, 벌채슬롯 스 캐터요, 수공슬롯 스 캐터요, 토건슬롯 스 캐터요, 운수슬롯 스 캐터요 등과 구분하여 집안에서 하는 일과 관련된 슬롯 스 캐터요를 일컫는다.

연원 및 변천

가사(家事)는 곧 ‘집안일’을 뜻하는 말로서, ‘가사슬롯 스 캐터요’는 ‘집안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2000년대 이전까지의 민요분류에서는 가사슬롯 스 캐터요가 ‘잡역슬롯 스 캐터요’, 또는 ‘기타슬롯 스 캐터요’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되었지만, 최근에는 ‘잡역슬롯 스 캐터요’ 또는 ‘기타슬롯 스 캐터요’의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가사슬롯 스 캐터요를 농업슬롯 스 캐터요 등의 다른 슬롯 스 캐터요와 동등한 수준의 분류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용

가사슬롯 스 캐터은 크게 방아찧기·매질·육아(育兒)로 나눌 수 있다. ‘방아찧기’는 디딜방아·절구방아·남방아(제주도의 나무방아) 등으로 곡식을 찧거나 빻는 일로서, 이럴 때 부르는 민요를 통틀어 ‘방아찧는소리’라 한다. ‘매질’은 여러 가지 ‘매(곡식을 가는 데 쓰는 도구)’로 곡식의 껍질을 벗기거나 분쇄하는 일로서, 매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로는 연자매질소리·매통질소리·맷돌질소리가 있다. ‘육아’는 아이를 기르는 일로서, 자장가·아이어르는소리·배쓰다듬는소리 등이 이 범주에 속하는 민요다.

방아찧기와 매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는 예전의 민요분류법에서 흔히 ‘제분슬롯 스 캐터요’로 분류되어 왔으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가족이 먹을 음식을 장만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집안일로 분류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현황

가사슬롯 스 캐터요는 생활 방식이 바뀜에 따라 육아(育兒)와 관련된 자장가나 아이어르는소리 정도를 제외하고는 실제 생활에서 거의 부르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가사슬롯 스 캐터요’라는 개념은 아이를 돌보는 일을 포함하여 집안에서 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를 슬롯 스 캐터요로 분류하기 위해 필요한 하위분류 개념으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요대전』(문화방송, 1992∼1996)
『한국민요·무가유형분류집』 (박경수·서대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한국 민요의 분류에 관하여」 (최상일, 『민요론집』제5호, 민요학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