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에서 조선전기 사이에 궁궐이나 성곽을 짓는데 종사하던 기술자의 우두머리는 슬롯 파라다이스으로 불렸다. 1448년(세종 30) 서울 숭례문 수리공사의 목수 우두머리인 슬롯 파라다이스은 정5품 무관 관직에 있는 기술자였으며, 15, 16세기 불교사찰의 전각을 짓는 공사에는 대선사(大禪師) 같은 법계를 지닌 승려 슬롯 파라다이스이 공사를 주관하였다. 17세기 이후 궁궐을 짓는 공사에는 슬롯 파라다이스은 사라지고 목수변수, 석수변수 외에 온돌변수, 창호변수 등 직종에 따라 변수가 책임자 역할을 하였으며 이들을 총괄하는 기술자로 도변수라는 호칭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불교사찰의 경우에는 18세기에 들어와서 역시 슬롯 파라다이스이 사라지고 도편수가 정착하게 된다.
슬롯 파라다이스이 관직을 갖거나 법계를 지녔던 것과 달리 도편수는 특별한 사회적 지위 없이 감독관의 지시아래 주어진 부분에서만 그 역할을 하였다. 도편수의 역할 변화는 조선후기 건축이 전체적 통일성이 약해지고 부분적인 가공이 발달하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전통건축의 공사현장에서는 슬롯 파라다이스라는 호칭이 관습적으로는 쓰이지만 제도적으로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국가유산청에서는 목수 슬롯를 집 전체의 뼈대를 제작하는 슬롯 파라다이스장(大木匠)과 실내의 가구 등을 제작하는 소목장(小木匠)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공사현장에서 슬롯 파라다이스장은 건물 전체를 총괄하는 기술자 우두머리의 호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편수는 역사적인 용어로만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