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고석 ()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정오의 우사」 · 「정원」 · 「모자」 등을 그린 화가. 유화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8월 10일
사망 연도
1940년
출생지
경기도 고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정오의 우사」 · 「정원」 · 「모자」 등을 그린 화가. 유화가.
개설

일본 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으며, 1931년, 1932년, 그리고 1937년부터 1940년까지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 입선하였다. 일본 유학 시기에는 이과전에 입선하였고,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협회전에 참가하였으나, 1940년 이른 나이에 요절했다. 사망하던 해 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협회전에서 고석 유작전이 열렸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3년 경기도 고양시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유학을 떠나기 전 그는 각종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전람회에 참여하여 입선을 거듭하였다. 즉 1931년 제10회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 「오후의 뒷길」이 입선했고, 제2회 녹향회(綠鄕會)전에 「명정문(明政門)」을 출품하여 입선했다. 같은 해 「가을」을 제11회 서화협회전(書畵協會展)에 출품하였다. 1932년에는 「어선(漁船)」으로 제11회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 입선하였다. 나혜석은 “매우 고심한 낯이 보인다”라고 평했다(1932년 7월 『삼천리』 기사).

1934년에는 일본 동경의 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帝國美術學校, 현 무사시노(武藏野)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대학) 서양화과에 입학하였고, 1939년 3월 10일 졸업했다. 동경 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는 1929년 설립된 사립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로 비교적 자유로운 화풍으로 교수했으며 수업 연한은 5개년이었고, 1929년부터 45년까지 147명의 조선인 유학생들이 수학했다(50명 졸업).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유학 중 1937년에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이과전(二科展)에 「우(牛)」를 출품하여 입선했다.

또한 일본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대학 유학생들과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결성한 단체인 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협회에서 개최한 전람회에 연속하여 출품하였다. 출품한 작품목록은 1938년 제1회 「습작」, 「리(鯉)」이며, 1939년 제2회에는 「화(花)」, 「수련」, 「풍경」을 출품했다. 김복진은 고석의 제1회 출품작 「습작」이 “특이한 지향”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생의 종합전 인상기」, 『동아일보』, 1938. 4. 28).

1937년부터 1940년까지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전람회에 매년으로 출품하여 입선하였는데, 입선작은 다음과 같다.

1937년 제16회 「지어(池漁)」

1938년 제17회 「정오의 우사(牛舍)」

1939년 제18회 「정원」

1940년 제19회 「모자(母子)」

1940년 사망 후 총독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관에서 열린 제3회 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협회전에 고석 유작 특별전이 개최되었고 그의 작품 13점이 전시되었다.

상훈과 추모

1940년 9월 5일부터 10일까지 경성 총독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관에서 열린 제3회 재동경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협회전에서 고석 유작전이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한국근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역사』(최열, 열화당, 1998)
『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 1929-1945』(한국근현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기록연구회 편저, 눈빛,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