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룰(丹光會)는 1943년 2월, “성전(聖戰)하에서 미술보국에 매진한다”는 취지로 창립되어 일본제국의 전쟁 수행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미술단체이다. 회원은 총 21명으로 야마다 신이치(山田新一)가 중심이 되었으며, 일본 화단에서 활약하던 신진 기예자 및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출신인 임응구(林應九), 김인승(金仁承), 김만형(金晩炯), 손응성(孫應星), 심형구(沈亨求), 박영선(朴泳善), 이봉상(李鳳商) 7명의 서양화가가 참여하였다.
1943년 4월 2일부터 7일까지 삼월백화점에서 《제1회 슬롯 머신 룰전》을 개최하고 수상작을 발표했는데, 조선인으로는 박영선과 김만형이 장려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 전시에 슬롯 머신 룰원 19명이 4개월에 걸쳐 공동 제작한 100호 크기의 「조선징병제 실시 기념화」가 일반에 공개되었다. 조선인 징병제 실시 발표에 앞서 제작된 이 그림은 제작 취지를 "이 광영의 제도를 길이 기념하고자 회원 19명이 힘을 합하여 나라에 봉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리어 기쁨에 넘친 반도의 한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밝혔다.
그림 속에는 징병 소집된 조선 청년을 중심으로 소집자를 배웅하는 비행기를 든 소년과 쿠라시케 슈조(倉茂周藏) 소장, 조선해군 무관부 마츠모토 이치로(松本一郎) 대좌, 지원병 훈련소장 우키타 카나메(海田要), 총력연맹 사무총장 하타 시게카즈(波田重一), 경기도 지사 타카야츠 히코(高安彦), 친일파 윤치호 등 실존인물들이 그려있다. 인물 뒤로는 경성부의 풍경과 남산의 신사(神社), 지원병들의 행진, 시민들의 환송장면과 여인들의 천인침(千人針) 제작 장면까지 섬세하게 그려 조선인 징병제 실시를 장려하는 전형적인 친일 작품이다. “근대 반도사의 일면을 반영하는 대단히 큰 감명을 일으킨 역작”이라는 평가와 함께 경성부와 평양에서 전시회를 통해 일반에게 공개된 뒤 조선군사령부 애국부에 기증되었다.
일제 말기 자발적인 친일미술인 모임이었던 슬롯 머신 룰는 한국인 회원 7명 모두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친일미술인으로 수록되었을 정도로 대표적인 친일미술단체이다. 중견 서양화가들로 이루어진 슬롯 머신 룰에 가입했던 화가들은 당시 친일 안 한 사람은 실력이 없었다고 하는 상황론과 재능론으로 당시 입장을 변호하고 있다. 그러나 박영선의 경우 정치 논리가 미술에 개입하는데 반대하고 순수미술을 옹호하며 우파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하였다. 특히 김인승은 심형구 등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목우회 등 대한민국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봉상은 미술평론가로도 활발히 활동하였던 점에서 한국 현대화단과도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