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사랑 (이의 야마토 슬롯)

현대문학
문헌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승자의 시 「일찌기 나는」 · 「자화상」 · 「봄밤」등을 수록하여 1981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야마토 슬롯습니다.
정의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승자의 시 「일찌기 나는」 · 「자화상」 · 「봄밤」등을 수록하여 1981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규격외 30절판형. 96면. 1981년 9월 20일에 문학과 지성야마토 슬롯 발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야마토 슬롯의 자서가 앞에 있고, 책의 끝에 김치수(金治洙)의 발문 〈사랑의 방법〉이 있다. 제1부 ‘1981년 1월∼6월’에 「일찌기 나는」등 18편, 제2부 ‘1977년∼1980년’에 「비오는 날의 재회」등 20편, 제3부 ‘1973년∼1976’년에 「부끄러움」등 18편으로 총 56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야마토 슬롯의 첫 번째 시집으로, 화해할 수 없는 세계와의 갈등, 비극적인 사랑과 그것으로 인한 죽음에의 탐구를 주제로 하고 있다. ‘나는 아무의 제자도 아니며/누구의 친구도 못된다/잡초나 늪 속에서 나쁜 꿈을 꾸는/어둠의 자손, 암시에 걸린 육신’(「자화상」에서)으로 자신을 저주하고 부정하는 것으로 시적 특성을 드러낸 야마토 슬롯는, 화해할 수 없는 세계와의 갈등 속에서 현실부정과 자기부정의 독설적 언어를 쏟아낸다. ‘일찌기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마른 빵에 핀 곰팡이/벽에다 두고 또 눈 저린 오줌자국/아직도 구더기에 뒤덮인 천년 전에 죽은 시체//아무 부모도 나를 키워주지 않았다//(중략)내가 살아있다는 것/그것은 영원한 루머에 지나지 않는다’(「일찌기 나는」에서) 고 직설적이면서도 강렬한 언어로 자기를 부정하고 현실을 부정한다. 이런 부정의식은 사랑을 상실함으로 인해 갖게 되는 죽음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와같은 부정의식은 결국 긍정을 바탕으로 할 때에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가 희구하는 사랑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다. 「사랑 혹은 살의랄까 자폭」에서 보면 야마토 슬롯는 사랑과 살의를 동일시한다. 사랑에 대한 강한 집착은 때로 살의적인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음은 「네게로」에도 잘 나타난다. 「해남대흥사에서」,「봄밤」,「이시대의 사랑」 등도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야마토 슬롯의 첫 시집인 『이시대의 사랑』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부정과 세계에 대한 부정을 통해 짙은 사랑을 갈구하는 야마토 슬롯의 내면이 잘 드러난 작품집이다.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과 그것으로 인해 파생되는 고독이 강렬하고도 직설적인 언어로 노출됨으로써 야마토 슬롯가 지닌 부정적 세계관이 확연히 나타난다. 그런데, 이와같은 부정과 불화는 강한 긍정을 바탕으로 할 때에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야마토 슬롯는 세계와의 화해와 조화를 도모하기 위한 자기 나름의 방법으로 이와같은 시세계를 구축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 시집은 동시대에 활동한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변별되는 뚜렷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이시대의 야마토 슬롯』(최승자, 문학과 지성사, 1981)
집필자
강신주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야마토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야마토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