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격외 30절판. 101면. 1986년 7월 20일 문학과 지성사에서 발행하였다.
책 앞에 슬롯 머신 효과의 자서(自序)가 있고, 끝에 김현의 해설 〈치욕의 시적 변용〉이 있다. 「서시」외 76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슬롯 머신 효과의 두 번째 시집인 『남해금산』은 서사구조를 가진 시집으로, 치욕스런 삶을 사는 아들이 어머니의 사랑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시집에서 슬롯 머신 효과가 말하는 치욕의 의미를 분명히 알 수는 없지만, 다음의 시를 보면 그 불분명한 치욕의 정황이 어렴풋이 드러난다. ‘그리고 다시 안개가 내렸다 이곳에 입에 담지 못할 일이 있었다 사람들은 말을 하는 대신 무릎으로 기어 먼 길을 갔다 (중략) 가담하지 않아도 창피한 일이 있었어! 그때부터 사람이 사람을 만나 개울음 소리를 질렀다//그리고 다시 안개는 사람들을 안방으로 몰아넣었다 소곤소곤 그들은 이야기했다(중략)//아, 이곳에 오래 입에 담지 못할 일이 있었다…...’(「그리고 다시 안개가 내렸다」에서). 이 시를 통해 볼 때 ‘치욕의 사건’은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그 내용은 ‘입에 담지 못할 일’이라고 할 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치욕의 흔적은 「치욕에 대하여」,「자주 조상들은 울고 있었다」,「아득한 것이 빗방울로」,「 치욕의 끝」,「오래 고통받는 사람은」 등에도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치욕의 상황을 극복하게 해 주는 것은 모성이다. 슬롯 머신 효과는 모성을 통해 치욕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으로 들어서게 된다. ‘사랑하는 어머니/당신의 이름을 힘겹게 부를 때마다/임종의 괴로움을 홀로 누리시는 어머니,//불러 주소서/그 눈짓, 그 음성으로/죄의 한 아이를…...’(「성모성월(聖母聖月) 1」에서). 이 시에서 슬롯 머신 효과는 모성의 전형인 성모마리아를 향해 죄인인 자신을 사랑으로 불러 달라고 기도한다. 치욕과 고통의 삶이 모성을 통해 구원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모성과의 합일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슬롯 머신 효과의 의식이 잘 드러난다.
『남해금산』에서 슬롯 머신 효과는 치욕적인 삶 속에서 방황하다가 모성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가는 시적 화자의 상황을 서사구조로 형상화하고 있다.
슬롯 머신 효과는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를 통해 실험적인 시세계를 보여줌으로써 한국의 전통적인 시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런데, 두 번째 시집인 『남해금산』에서 슬롯 머신 효과는 첫 번째 시집에서와는 달리 한국적 서정에 바탕을 둔 전통적 시쓰기라는 방법론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론적 변화를 시도하면서 쓴 『남해금산』은 그 전에 나온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만큼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