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신성학교 ()

학교교육
단체
1906년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읍에 설립된 기독교계 중등 사립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06년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읍에 설립된 기독교계 중등 사립학교.
개설

신성슬롯 꽁 머니는 선천 지역의 조선인 기독교 지도자 및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의 협력에 의해 1906년 9월 설립된 기독교 선교계 중등 사립슬롯 꽁 머니이다.

설립목적

1905년 7월 선천의 조선인 기독교 지도자들인 양전백, 김석창 등이 중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슬롯 꽁 머니 설립을 위해 선천중학회라는 설립기성회를 조직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연원 및 변천

휘트모어(Norman C. Whittemore(위대모, 魏大模)를 교장으로 추대하고, 1906년 9월 선천읍의 교회당을 빌려 26명의 학생으로 개교슬롯 꽁 머니.

1909년 2대 교장으로 매큔(George Shannon McCune, 윤산온, 尹山溫)이 부임하여 교회 및 학생들의 자립 자조를 위해 실업교육을 강화하였다. 당시 휴 오닐(Hugh O’Neill) 여사가 죽은 아들을 기념하기 위해 1만 5000불을 기부하여 슬롯 꽁 머니의 발전에 공헌하였는데, 선교회에서는 기부자의 이름을 따서 휴 오닐 주니어 아카데미(The Hugh O'Neil Jr. Academy for Boys)라고 불렀다. 그리고 기숙사를 증축하고 노동 학생을 위해 목장 및 공업소 등을 설치하였다.

1910년 실업부(Industrial Department)에서 57명의 슬롯 꽁 머니들이 책 만들기, 농업, 수위, 목수 등의 다양한 일을 하며 학비를 보조받았다. 1911년 9월에 153명이 슬롯 꽁 머니이 다니고 있었지만, 105인 사건으로 양전백과 김석창 등 교사와 슬롯 꽁 머니 대거 검거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1927년 미국경제불황 여파로 선교회 경영 슬롯 꽁 머니들의 통합논의가 이루어져 보성여슬롯 꽁 머니와 합동으로 경영하게 되어 처음으로 조선인 교장 장리욱이 취임하였다.

신성슬롯 꽁 머니는 1931년 3월 지정슬롯 꽁 머니로 인가받았으나 조선총독부의 선교교육 불허에 저항하며 1938년 선교회는 폐교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선천의 오씨 문중 일가의 기부로 조선인 위주의 별도의 재단법인을 만들어 슬롯 꽁 머니를 인계받았다.

기능과 역할

당시의 교육과정은 4년제 과정으로 성경, 국어, 일어, 국사 및 지지, 산술 및 대수 기하와 부기, 광물 식물 동물 생리 위생, 화학 물리, 실업, 자재화, 슬롯 꽁 머니체조, 창가, 영어, 현행제도 및 경제 대의 등을 교과를 가르쳤다. 3년간 약 70여 명의 학생을 가르쳤고, 1909년 제1회 졸업생 9명을 배출하였다.

선교회로부터 매달 30불씩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였는데,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는 선교잡지『코리언 미션 필드(Korean Mission Field)』에 이 슬롯 꽁 머니를 선천소년슬롯 꽁 머니 (The Boys Academy of Syen Chun)로 소개하였다.

현황

1942년 9월 선천중슬롯 꽁 머니로 개칭하였고, 1980년 경기도 안양시에서 안양 신성중고등슬롯 꽁 머니로 재건하였다. 졸업생으로는 백낙준, 고병간, 계훈제 등이 있다.

참고문헌

『창립100주년 신성슬롯 꽁 머니사』(김영혁 편저, 신성슬롯 꽁 머니 동창회, 2006)
『신성슬롯 꽁 머니사』(신성슬롯 꽁 머니 동창회, 1980)
「미북장로회슬롯 꽁 머니부 관할 미션스쿨에 대한 한국인의 경영 참여」(박혜진, 『한국기독교와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회, 2013)
「선천지역 미션스쿨의 지정슬롯 꽁 머니 승격과 슬롯 꽁 머니 인계 과정 연구」(박혜진, 『역사학연구』, 호남사학회,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