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이기는 법 4·15문학창작단 ()

연극
단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그리고 그 가계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을 문학으로 창작하는 문학전문 창작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그리고 그 가계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을 문학으로 창작하는 문학전문 창작단.
개설

수령형상을 목적으로 세워진 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으로 북한 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의 근본적인 문제인 수령형상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천적으로 수령형상의 본보기 작품을 창작하는 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이다. 북한 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에서 수령형상의 대상은 김일성 수령 개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령 일가의 모든 인물이 대상이다.

설립목적

슬롯 머신 이기는 법에 대한 올바른 형상창조를 통해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올바로 세우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67년 6월 20일 김정일이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4·15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을 내올 데 대하여’를 통하여 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의 핵심기지이자, 수령형상 슬롯 머신 이기는 법의 거점으로서 4·15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의 설립을 언급하면서 만들어졌다.

기능과 역할

북한 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에서 수령형상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구체적인 모범을 제시한 창작단으로 수령형상을 통한 유일지배체제의 본보기 단체이다.

현황

행정체계상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산하단체로 북한의 대표적 소설가 50∼60명으로 구성된다. 4·15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은 총서 『불멸의 역사』, 김일성 주석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활동을 그린 총서 『불멸의 향도』, 장편실기 『21세기를 보다』 등의 작품을 창작하였다. 북한 소설사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불멸의 역사』 총서는 1968년 1월부터 창작되기 시작한 시리즈물로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혁명 투쟁 시기의 활약을 시기별, 사건별로 작품화 한 것으로 「닻은 올랐다」, 「혁명의 려명」, 「은하수」, 「백두산 기슭」, 「근거지의 봄」, 「혈로」, 「빛나는 아침」, 「조선의 힘」 등이 있다.

4·15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천세봉, 현승걸, 권정웅, 석윤기, 강능수, 김정, 최창학, 권정웅, 최학수, 김정, 이종렬, 진재환, 안동춘, 백남용, 박태수, 김정민 등이 있다.

평가

4·15슬롯 머신 이기는 법창작단은 북한의 수령우상화의 대표적인 단체로, 대표적인 작품으로 북한 소설사에서 최고 걸작으로 평가되는 『불멸의 력사』 총서 시리즈는 김일성 주석의 항일혁명 뿐만 아니라 아버지인 김형직, 어머니인 강반석 그리고 할아버지인 김보현, 할머니인 이보익의 이야기까지 소설화하였다. 이 과정은 물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직접 지도로 진행되었으며, 김일성 주석의 사망 이후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불멸의 향도』 총서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북한을 움직이는 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인들』(전영선, 역락, 2004)
『북한의 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전영선, 역락, 2002)
『김정일과 슬롯 머신 이기는 법문화예술』(통합문화연구소, 문화체육부, 1996)
『북한 슬롯 머신 이기는 법사전』(이명재 편, 국학자료원, 1995)
『문예상식』(슬롯 머신 이기는 법예술종합출판사,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슬롯 머신 이기는 법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슬롯 머신 이기는 법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