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슬롯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불교
문헌
국가유산
해인사에서 당나라의 승려 반야가 번역한 『화엄경』을 13~14세기경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이칭
이칭
보현행원품, 정원화엄경, 사십화엄경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방광불메이플 슬롯 정원본 권31(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一)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3년 04월 27일 지정)
소재지
인천 연수구 청량로102번길 40-9, 가천박물관 (옥련동,가천박물관)
• 본 항목의 메이플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인사에서 당나라의 승려 반야가 번역한 『화엄경』을 13~14세기경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개설

당나라 반야삼장이 한역한 화엄경 정원본 40권 가운데 제31권이다. 화엄경 진본과 주본의 입법계품의 메이플 슬롯이다. 보현행원품, 정원화엄경, 사십화엄경 등으로 불리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해인사 사간판 가운데 수창4년(1098)판의 번각으로 추정된다. 번각 시기는 고려대장경 판각 완료 직후 1248년 이후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판식은 상하단변이고 상하간 23㎝, 전엽 31.6㎝×49.3㎝에 24항 17자씩 배자되어 있다. 판수제는 ‘貞元三十一 九’ 등으로 경명, 권차, 장차가 표시되어 있다. 제본은 6항씩 접어 절첩본으로 하였다. 표지는 감지(紺紙)에 금니로 학립사횡(鶴立蛇橫)표시 아래에 ‘대방광불메이플 슬롯 권제삼십일(大方廣佛華嚴經 卷第三十一)’이라고 경명과 권차가 묘사되어 있고, 그 아래에 정원본임을 표시하는 ‘貞’자가 역시 금니로 묘사되어 있다. 판본 아래 부분에 습기로 얼룩진 모습이 보이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권말에 음의가 있다.

내용

이 경은 화엄경의 입법계품의 메이플 슬롯인데,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며 보현보살의 행원을 이루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결국 보현보살의 행원을 이루려면 보살로서 도를 닦는 목적이 중생을 구제하는 데 있고 그 목적을 실현하자면 모든 과정을 다 거쳐 불교의 이치를 깨닫는 법계에 도달해야 하는 것이다.

이 31권에서는 선재동자가 마야부인, 천주광공주, 변우동자, 선지중에동자를 만나 법을 구하는 메이플 슬롯이다. 이 중에서 천주광공주는 보살이 헤아릴 수 없는 불가사의한 교리의 뜻을 알려고 하면 지혜를 닦는 것이라고 하고, 10바라밀다를 닦아 부처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판본은 다소 후쇄의 기미가 보이는 13~14세기의 해인사 사간판본이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2∼93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4)
관련 메이플 슬롯 (1)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메이플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메이플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메이플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메이플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