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파파 슬롯 천불도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천 용문사 천불도
회화
개념
장엄겁, 현겁, 성숙겁의 삼겁에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이칭
이칭
천불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장엄겁, 현겁, 성숙겁의 삼겁에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내용

과거 장엄겁(莊嚴劫), 현재 현겁(賢劫), 미래 성숙겁(星宿劫)의 삼겁(三劫)에 각각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그림을 말하며, 보통 파 파파 슬롯을 말할 때에는 현겁의 파 파파 슬롯, 즉 구류손불(拘留孫佛),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 가섭불(迦葉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미륵불(彌勒佛)부터 누지불(樓至佛)까지의 파 파파 슬롯을 말한다. 파 파파 슬롯도는 보통 현재 1,000명의 부처만을 그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에 더하여 과거 장업겁에 있는 1,000위(位)의 부처와, 미래 성숙겁에 출현할 1,000명의 부처를 더하여 삼파 파파 슬롯(三千佛)을 그리는 경우도 있다. 현재 남아있는 파 파파 슬롯도는 용문사(1709년), 선암사(2점, 18세기․1907년), 선운사(1754년)의 탱화와 미황사 대웅전 벽화(18세기)까지 총 5점으로 모두 조선 후기에 그려진 것이다.

파 파파 슬롯도는 한 폭에 파 파파 슬롯을 모두 묘사한 것과 여러 폭에 파 파파 슬롯을 나누어 그린 형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용문사 파 파파 슬롯도(1709년)와 선암사 파 파파 슬롯도(1907년)는 비바시불(毘婆尸佛)․시기불(尸棄佛)․비사부불(毘舍浮佛)․구류손불(拘留孫佛)․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가섭불(迦葉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로 구성된 과거칠불(過去七佛)이 파 파파 슬롯과 함께 한 폭에 모두 그려진 형식이다. 선운사 파 파파 슬롯도(1754년)의 경우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사불(藥師佛)로 이루어진 삼세불(三世佛)과 과거칠불을 포함한 130명의 부처를 그려낸 주불도(主佛圖) 1폭과 210명의 부처를 그린 2폭, 225명의 부처를 그린 2폭으로 구성하여, 총 5폭에 파 파파 슬롯을 나누어 그렸다. 벽화로 그려진 파 파파 슬롯도는 미황사가 유일한데, 대웅전 대들보와 공포대 위 벽면 약 23개의 공간에 정확히 1,000명의 부처가 나뉘어 그려져 있다.

파 파파 슬롯도는 보통 같은 격의 부처를 나열하듯이 그려낸 단순한 화면구성을 보여주는데, 선암사 파 파파 슬롯도(1907년)와 같이 화면을 크고 작은 원을 사용해 구획을 나누고 그 안에 파 파파 슬롯을 나누어 그린 예도 있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미황사 대웅전 단청모사보고서』(미황사,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08)
「조선후기 다불회도 연구」(고진영, 『불교미술사학』6, 통도사성보박물관․불교미술사학회, 2008)
『실크로드에서 온 파 파파 슬롯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벽화전-』(국립중앙박물관, 2006)
「선암사의 불교회화」(김승희, 『미술사학지』Ⅱ,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7)
「千佛圖について」(安田治樹, 『大化文華』106, 大化文華館, 200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