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724년에 신녕현(新寧縣) 보현산(普賢山) 법화사(法華寺)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靈山會上圖)로, 현재 영천 봉림사에 소장되어 있다.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는 석가모니불이 인도의 기사굴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불화이다.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많은 성중이 둘러싸고 설법을 듣는 장면은 조선시대 유행한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 중에서도 짜임새 있는 구성과 대화면의 장중한 표현으로 단연 독보적인 작품성을 보여준다. 봉림사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는 적색과 녹색을 주조색으로 원색조의 안료를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화면이 특징적이다.
당시 시주질과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 제작에 관여한 명단은 발원문을 통해 알 수 있다.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 조성의 수화승은 쾌민(快旻)으로 화기에는 쾌민, 체준(體俊), 덕종(德宗), 새정(璽淨), 지성(智性), 선월(禪月) 등 6명의 화승이 참여했음을 보여준다. 쾌민은 1708년에 조성된 보경사 괘불탱(보물, 2009년 지정)에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활동한 팔공산화파의 의균을 수화승으로 석민(碩敏), 성익(性益)·지붕(智朋)·체환(體環)·쾌민(快敏)·삼학(三學) 등 7명이 조성하였다. 이들은 동화사, 파계사를 주축으로 하는 팔공산 지역의 대표적인 화승이다. 쾌민이 의균의 제자들이 주축이 된 불사에 참여한 사례는 1725년 조성된 지장사 지장보살도에서도 찾을 수 있다. 지장사 지장보살도는 석민을 수화승으로 쾌민, 체환, 체준, 굉원(宏遠), 법징(法澄), 새정, 지성(智性) 등이 그렸다. 쾌민의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에서 간취되는 밝고 명랑한 색채와 세선을 사용한 인물묘사는 팔공산화파의 18세기 양식을 보여준다. 이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를 통해 의균의 양식적 특징이 석민을 통해 쾌민에게로 계승되는 과정을 추측할 수 있다. 쾌민이 불사의 우두머리로 이름이 기재된 사례는 1724년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중수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1728년 동화사 지장보살도, 동화사 삼장보살도 조성에도 수화승으로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를 조성하였다.
화기에 의하면 봉림사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의 조성은 3인의 대시주자에 의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시주자는 불굴사(佛屈寺)종밀(宗密)로 바탕과 불사에 수요되는 공양(供養)을 시주했으며 최후종(崔厚種)은 채색 안료를, 당시 법화사 승려였던 신오(信悟)는 배접에 사용할 종이를 시주하였다.
제작에 관련한 더 상세한 정보는 불화와 함께 발견된 복장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복장물은 발원 내용을 수록한 발원문(發願文) 1매와 당시 사찰 소속 승려들을 기록한 본사질(本寺秩) 2매, 시주에 참여한 명단인 시주질(施主秩) 1매, 그리고 목조 후령통과 복장주머니[腹藏囊] 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림사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도는 18세기 경북지역에 있어 의균 이후 팔공산화파의 불화 제작과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