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오백나한상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오백나한상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오백나한상
조각
개념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과를 이룬 불교 수행자 500인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나 조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과를 이룬 불교 수행자 500인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나 조각.
개설

불법을 수호하고 중생을 이롭게 하는 나한은 일반적으로 십육나한, 십팔나한, 그리고 넷 엔트 슬롯나한으로 무리를 이루어 신앙화되는데, 그 중 넷 엔트 슬롯나한은 나한의 위력을 가장 극대화시킨 것이다. 넷 엔트 슬롯나한상은 주로 사찰 내 나한전, 응진전, 혹은 영산전 등에 봉안된다.

연원 및 변천

불교 경전 중 『증일아함경』, 『십송률』, 『불설흥기행경』, 그리고 『법화경』의 「넷 엔트 슬롯제자수기품」 등에 넷 엔트 슬롯나한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오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송대에 가장 성행하였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에 가장 빈번히 제작, 신앙화되었다.

내용

『증일아함경』을 보면‘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가란타 대나무 숲 동산에서 넷 엔트 슬롯의 큰 비구들과 함께 계셨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법화경』의 「넷 엔트 슬롯제자수기품」에는 부처님이 500명의 나한을 위해 특별히 수기를 남겼고, 불멸 후 1차 결집 때 이들이 모두 모였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넷 엔트 슬롯나한의 이름은 경전에 그 일부만이 기록되어 있어 후대에 체계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두 가지 계보가 존재한다. 중국과 일본은 남송대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며 한국은 고려시대부터 사용하던 존명이 지금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다. 넷 엔트 슬롯나한상은 십육나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커서인지 민간 개인보다는 왕실이나 권력층, 혹은 민간 다수의 발원으로 제작된 경우가 많다. 특히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외침으로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 있거나 가뭄이 심할 때 국가의 주도로 넷 엔트 슬롯나한재가 개설되고 넷 엔트 슬롯나한상의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현황

중국에서는 현재 남송 1178-1188년에 제작된 100폭짜리 넷 엔트 슬롯나한도가 가장 대표적이며 그 외에 넷 엔트 슬롯나한 조각상이 다수 전해진다. 한국은 고려 1235-6년에 제작된 넷 엔트 슬롯나한도와 고려 14세기 후반의 넷 엔트 슬롯나한도, 그리고 영천 은해서 거조암의 넷 엔트 슬롯나한 조각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의의와 평가

넷 엔트 슬롯나한은 나한의 위력이 가장 극대화된 개념이며, 현존하는 작품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나한의 성격과 특징이 가장 다양하면서도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특히 고려시대 넷 엔트 슬롯나한도는 발원목적과 도상, 그리고 기법적인 측면에 있어서 동아시아 넷 엔트 슬롯나한도의 전개과정을 밝히는데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한국의 넷 엔트 슬롯도 연구」(신광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