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석기시대 자갈돌, 격지, 돌날 등에 타제기법으로 끝을 뾰족하게 만든 석기이다. 전기 구석기시대에 주먹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중기 구석기시대에 르발루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후기 구석기시대에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모뿔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각추상석기]와 나뭇잎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가 차례로 제작되었다. 중기 구석기시대 이후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종류는 주로 자루에 묶어 짐승이나 물고기를 잡는 데 쓰는 도구 종류가 많았다. 이 중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한국의 후기 구석기 문화를 대표한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point)는 몸체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대별된다. 대형에 속하는 주먹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pick)는 자갈돌을 손질하여 뾰족하게 튀어나온 주1의 날을 만든 것으로 길이는 보통 20㎝ 내외이다. 이 석기는 전기 구석기시대에 처음 나타났으며 한반도에서는 중기 구석기시대와 후기 구석기시대까지 명맥이 이어졌다.
주먹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연천 전곡리 유적, 청원 만수리 유적, 화순 도산 유적, 구례 용두리 유적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중국에서는 삼릉대첨상기(三稜大尖狀器)라고 부르는데 정촌(丁村) 유적의 유물이 전형이다. 반면 일본열도에서는 아직 발견된 바 없다.
중기와 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르발루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Levallois point) 및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tanged point)와 나이프형석기(knife shaped tools)는 모두 소형에 속한다. 르발루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긴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격지로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나 나이프형석기보다 더 크고 무겁다.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유문암, 혼펠스, 규질셰일, 응회암 등으로 만든 돌날이나 뗀석기, 긴주2를 잔손질해 뾰족한 부위와 자루에 연결하는 주3 부위를 만든 것으로 길이가 보통 5~6㎝이나, 큰 것은 13㎝나 된다(사진 1.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진안 진그늘 유적 출토]). 이것은 단양 수양개 유적, 진안 진그늘 유적, 대전 용산동 유적, 임실 하가 유적, 순천 월평 유적 등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42,000년 전부터 후기 구석기시대가 끝나는 무렵까지 존속하여 한국의 후기 구석기문화를 대표하는 석기인데, 일본 규슈 지역에서 29,000년 전 이후 수천 년 동안 성행하여 한반도 구석기인의 일본열도 이주 및 양 지역의 문화교류를 입증하고 있다.
나이프형석기는 긴 격지나 돌날의 한 변이나 두 변, 또는 일부를 잔손질하여 자르거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기 좋은 형태로 만든 석기이다(사진 2. 나이프형석기[임실 하가유적 출토]).
그리고 모뿔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두터운 격지의 양변을 잔손질하여 한 끝은 삼릉선의 뾰족한 날, 그 맞은 편은 슴베 또는 잡이로 쓸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일본학계에서 각추상석기(角錐狀石器)라고 부른다.
나이프형석기와 모뿔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일본열도의 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로 알려져 있으나, 임실 하가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광주 삼리 유적 등지에서 발견되어 그것의 기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나뭇잎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leaf shaped bifacial point)는 버드나무나 월계수의 잎처럼 양끝이 뾰족하고 몸통의 횡단면은 볼록렌즈형이며, 크기는 소형~대형으로 다양하다(사진 3. 나뭇잎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임실 하가 유적 출토]). 이것은 격지의 양면을 뿔이나 나무망치로 잔손질하여 만든다. 후기 구석기시대의 장흥 신북 유적, 순천 월평 유적, 임실 하가 유적, 그리고 약 1만 년 전의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하여 구석기에서 신석기로의 전환이 단절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 중의 하나이다.
르발루아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나이프형석기, 모뿔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나뭇잎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는 모두 창끝으로 사용되었다. 라스코동굴에는 창에 찔려 창자가 쏟아진 상태의 들소가 뿔로 받는 자세를 취하고 있고, 그 앞에는 사냥꾼이 나자빠진 장면의 벽화가 있는데, 아마도 급소를 맞추지 못한 사냥꾼에게 일어난 사고를 기록한 것으로 해석된다.
후기 구석기인들은 사냥감에서 멀리 떨어져 안전하게 사냥하려고 창던지개[추진기]를 고안하였고, 좌우 대칭형의 슴베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모뿔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나뭇잎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개 등 다양한 창끝을 개발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창끝은 후빙기 이후 사냥감의 중소형화에 발맞춰 사거리와 명중률을 높이려는 노력 속에 신석기시대에 좌우 및 양면 대칭의 활촉으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