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로는 대금구(帶金具)라 한다. 고대사회에서 허리띠는 소유자의 사회적 지위를 잘 보여주는 상징적 물품이다. 특히 관인들은 관복을 입으면서 관대(官帶)를 착용하였는데, 관대에 부착하였던 금속품이 바로 티 카페 슬롯이다.
재질로 보면 금, 금동, 은, 동제품이 있다. 금제품은 신라의 왕족 무덤에서 한정적으로 출토된다. 신라의 금, 은제 티 카페 슬롯 가운데 드리개〔腰佩〕가 달려 있는 예가 있다. 드리개의 끝에는 물고기, 용, 곱은옥〔曲玉〕, 향낭(香囊), 집게 등의 장식물이 매달려 있다. 과판(銙板: 티 카페 슬롯에서 버클에 해당하는 부분)에 용, 봉황, 인동초(忍冬草) 등의 무늬가 표현된 예도 있다. 6세기 중엽 이후 삼국시대 각국에서는 화려한 장식을 갖춘 티 카페 슬롯가 사라진다.
고구려의 티 카페 슬롯는 중국 진(晋)과 선비족 전연(前燕)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등장하였다. 곧 고구려적인 색채가 발현되었고 4∼5세기대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티 카페 슬롯로 전파되었다. 신라의 티 카페 슬롯는 특히 화려하며 출토 수량도 많다.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에서 출토된 티 카페 슬롯 가운데는 인동초를 간략화한 삼엽문(三葉文)이 베풀어져 있고, 다양한 도안을 갖춘 드리개가 매달려 있다. 백제의 한성기 및 웅진기에는 귀면(鬼面) 장식 티 카페 슬롯가 유행하였다. 무령왕릉 출토 티 카페 슬롯는 삼국시대 티 카페 슬롯 가운데 가장 빼어난 걸작이다. 특히 드리개에는 귀면, 두꺼비, 백호, 주작 등의 무늬가 베풀어져 티 카페 슬롯. 이 가운데 두꺼비는 달을 상징하는 도상이고 백호와 주작은 사신(四神) 가운데 일부이다.
티 카페 슬롯는 삼국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가 고대국가로서 성장, 발전했음을 증명해주며 각 국가별 관위제(官位制)의 정비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