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곡리 화장묘는 양잠사 신축을 위해 언덕을 포크레인으로 정지하던 중 장골기(藏骨器)가 들어있는 석함(石函)과 석함 내에 들어 있던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 항아리, 그리고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 구덩이 사이에 들어 있던 흙으로 만든 12지상(十二支像: 십이지신)이 수습되었다.
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는 타원형의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화강암을 다듬어 만든 석함 안에 뼈를 담은 장골기를 안치한 후 아리스 토크 랏 슬롯돌을 덮은 구조이다. 석함의 형태는 횡타원형이고, 높이와 너비가 100㎝ 내외로 다른 화장묘의 석함보다 규모가 크다. 석함은 횡타원형 몸통과 횡타원형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중앙부를 구유처럼 파서 만들었다. 몸통과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직경이 같아 아가리가 일치한다. 내용기인 아리스 토크 랏 슬롯 항아리〔有蓋壺〕는 석함의 형태와 비슷한 종타원형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보주모양꼭지〔寶珠形鈕〕를 붙였고, 아가리 가까이에 대칭되게끔 4곳에 긴네모모양〔長方形〕의 귀를 만들고, 귀 중심에 아래 위로 관통하도록 구멍을 뚫었다. 항아리는 몸통이 종으로 긴 형태이고, 바닥에 굽이 있다. 아가리 바로 아래에 서로 대칭되게 4곳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 같은 형태 및 크기의 귀를 붙이고 귀의 중심에 아래위로 관통하는 구멍을 뚫었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덮었을 때, 4개의 귀가 서로 합치하는 구조이다. 이 귀는 네 귀에 철끈을 끼워 유골을 담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 몸통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 항아리는 표면에 무늬가 새겨지지 않았다. 십이지상은 흙으로 만들었고, 높이가 12∼15㎝ 내외이다. 12지상은 9개체인데, 옷차림새는 모두 평상복이다.
화곡리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는 통일신라 지배층이 불교의 사리용기와 안치방식을 모방하여 만든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의 초기 형식으로서 9세기대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왕경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의 편년은 물론 불교식 장법과 12지사상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12지상은 통일신라 왕릉의 둘레돌( 호석(護石))에 흔히 조각되어 있음을 통해서 볼 때, 12지상이 부장된 화곡리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의 피장자는 신라 지배층의 일원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