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청계천 복원사업 ( )

복원된 청계천의 시민들
복원된 청계천의 시민들
현대사
사건
2003년 7월 1일 착공하여 2005년 10월 1일 완공한 서울시의 청계천 일대 복원사업.
이칭
이칭
청계천복구사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2003년 7월 1일 착공하여 2005년 10월 1일 완공한 서울시의 청계천 일대 복원사업.
개설

서울시는 시민의 안전문제, 도심의 균형발전, 환경보호, 서울의 역사성 회복 및 문화 공간 창출 등을 위해 이명박 서울시장의 진두지휘 하에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을 실시하였다. 공사기간은 2년 3개월, 총 공사비는 약 3,800억 원이 사용되었다.

역사적 배경

위쳐 3 슬롯 모드천은 조선 전기 인공하천인 개천으로 형성된 이래 서울의 역사와 늘 함께 해 왔다. 그러나 위쳐 3 슬롯 모드천은 일제시기이래 생활하수구로 변모하였고, 이를 1960년대 위생문제·도로확충·도시기반시설 정비 차원에서 복개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복개된 위쳐 3 슬롯 모드천은 산업화와 근대화 역사에서 나름의 일익을 담당하였지만, 21세기 환경과 문화의 시대를 맞아 하천 복원은 시대적 당위가 되었다. 또한 위쳐 3 슬롯 모드천 주변 건물들의 노후화와 슬럼화, 강남과 강북지역 간의 경제·문화적 불균형, 환경파괴적 도시관리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서울시는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을 결정하여, 훼손된 서울의 얼굴을 새롭게 단장하고, 인간·자연·문화가 공생하는 환경친화적 도시를 만들기 위해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에 착수하였다.

경과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 구간은 중구 태평로 시점에서 동대문을 거쳐 성동구 신답철교까지 5.8km 구간을 3개 구간으로 나누어, 시작지점부터 광장시장까지 2km는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였고, 위쳐 3 슬롯 모드광장에서 난계로까지 2.1km는 문화와 현대를 중심테마로 설정하였으며, 이후 신답철교까지 1.7km는 자연과 미래 개념의 시간축을 구상하였다.

사업 시작 후 위쳐 3 슬롯 모드고가도로는 2003년 8월 3일에, 삼일고가도로는 2003년 10월 5일에 철거를 완료하였고, 복개구조물은 2003년 8월에서 2004년 12월까지 공정에 따라 철거하였다.

하천단면은 구간에 따라 하폭 19∼113m, 저수로폭 6∼72m, 고수부지폭 2∼72m, 고수호안 높이 3∼7m, 저수호안 높이 1∼3.7m로 복원되었다. 그리고 위쳐 3 슬롯 모드천은 우기 때에만 물이 흐르는 건천이므로, 친수 생태환경 조성을 위해 유지용수를 공급하여 평균 40cm정도의 수심으로 물이 흐르게 하였다.

총 22개의 위쳐 3 슬롯 모드천 다리(인도교 7개, 차도교 15개)는 주변 여건과 복원된 위쳐 3 슬롯 모드천에 잘 조화되도록 설치되었다. 그리고 복원의 기본 구상에 따라 시점부에서 하류구간으로 갈수록 도시적 이미지에서 점진적으로 자연성이 풍부한 하천으로 복원하였다. 게다가 하천 주변에는 9개의 수경시설과 정조반차도, 문화의 벽, 색동벽, 소망의 벽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공간을 설치하여 하천 이용 시민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의와 평가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은 단순한 하천복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와 문화의 복원이자 생명 복원 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의 의의는 국민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2005년 10월 1일 개장한 후 한 달 간 627만 명이 위쳐 3 슬롯 모드천을 다녀가기도 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은 문화유적을 복원하고, 도심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며,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서울시에게 많은 경쟁력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생태적 다양성의 부족, 훼손된 문화유산의 복원문제 등은 여전히 남겨진 과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 백서』(서울특별시, 2006)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의 성과와 한계」(조명래, 『대한토목학회지』53, 2005)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이인근, 『대한토목학회지』53, 2005)
『위쳐 3 슬롯 모드천 복원사업 추진보고』(손정목, 서울특별시, 2003)
집필자
김태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위쳐 3 슬롯 모드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위쳐 3 슬롯 모드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