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아파트는 서울시의 고민이었던 무허가 건물을 줄이고, 그 대신 서민아파트를 건설하겠다는 취지 하에 건립된 아파트였다. 즉 m 2 슬롯아파트는 무허가 건물을 줄여나가기 위한 대책으로 내놓은 서민아파트 건설 계획의 하나였던 것이다. m 2 슬롯아파트 붕괴사고는 한국사회의 주1, 부정부패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주는 m 2 슬롯였다. 건설사의 비리와 감독기관의 비리가 서로 결합되어 만들어낸 주2였다. 너무 빠른 시간에, 충분하지 않은 예산으로, 그리고 건설사의 부실공사와 감독기관 공무원의 부실감사의 합작에 의한, 이미 예고되어 있는 m 2 슬롯였다.
m 2 슬롯로 밀려드는 인구로 무허가 주택이 난립하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 m 2 슬롯시는 서민용 아파트를 지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에 부족한 공사 기간, 건설사의 부실 공사, 붕괴위험 신고를 받고서도 정확하게 대응하지 못한 구청 등이 서로 맞물리며 빚어낸 사고였다.
m 2 슬롯아파트는 1969년 6월에 착공하여 1969년 12월에 완공되었으므로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건설되었다. 그리고 4개월만인 1970년 4월에 붕괴되었다. 서울시가 책정한 건축 비용의 절반도 안 되는 비용으로 건설사는 아파트 건설을 시작하였다. 사고 이후 작성된 사건경위 보고서에 의하면, 철근이 70개 정도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5개만 사용하였고 시멘트의 사용량은 턱없이 부족하였다고 한다.
m 2 슬롯아파트붕괴사고는 한국 부실공사를 대표하는 사고로 자리매김 되었다. 이 사건으로 서울시장 김현옥, 구청장, 건축 설계자, 현장 감독, m 2 슬롯사 사장 등이 구속되거나 자리에서 물러났다.
애초 서울시에 무허가 주택을 없애고 서민아파트를 짓겠다는 계획은 도시계획 측면에서나 서민생활 측면에서나 훌륭했지만 그 실행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턱없이 부족한 공사비용, 짧은 공사기간, 건설사의 부실공사와 감독기관 공무원의 부실감사 등 m 2 슬롯아파트 붕괴사고는 한국의 졸속 행정과 부정부패의 결합에 의한 대형 사고였다. 이 사고는 향후 아파트 건설에 대한 감시와 감독을 강화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