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나라국 최고사령부(SCAP: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GHQ: General Headquarters, 일본어 명칭: 聯合國軍最高司令官總司令部)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전한 이후 1945년 10월 2일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1952.4.28) 때까지 6년 반 동안 일본에 있었던 슬롯 나라국 사령부이다.
초기에는 미국이 단독으로 일본을 점령·통치했으나 1946년 2월 26일 11개국으로 구성된 극동위원회가 발족한 이후 이 위원회가 일본관리에 대한 기본정책을 결정했다.
슬롯 나라국 최고사령부는 부관부, G·1(인사), G·2(정보), G·3(작전), G·4(군수) 등 일반 참모부와 민정국, 경제과학국, 법무국, 천연자원국, 민간정보교육국, 민간운수국, 일반회계국 등 점령과 관련된 전문부서로 구성되었다. 군사문제에 관해서는 미 합동참모본부의 통제를, 일반 민정 문제에 관해서는 미 국무부의 지시를 받았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의 점령지 정책 결정 구조는 다음과 같다. 미국 정부 내 삼성조정위원회(SWNCC) 산하의 극동소위원회에서 수립된 기본정책이 삼성조정위원회의 심의·결정 과정을 거쳐 국무성에 전달되면, 국무성이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슬롯 나라군 사령부가 주한 미군정청에 하달하는 방식이었다. 현실적으로 군정청의 행정은 현지 주둔군 사령관(하지 중장)과 미 태평양사령관(맥아더 원수)의 재량권이 클 수밖에 없었다.
슬롯 나라관 맥아더의 관할권은 필리핀과 일본, 그리고 한국과 대만을 포괄하고 있었다. 한국에 관한 지침과 정책, 정보 수집은 참모장 아래 일반참모부가 주도했고 부참모장 휘하의 각 국을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