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67년 아들 종호(鍾虎)가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한게임 슬롯 권두에 이기윤(李基允)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문세(李文世)·채종락(蔡鍾樂)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166수, 권2는 서(書) 23편, 권3은 잡저 6편, 서(序) 2편, 발(跋) 3편, 잠(箴) 1편, 축문 3편, 제문 6편, 묘갈명·가장 각 2편, 행장 1편, 권4는 부록으로 상량문·유사·행장·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한게임 슬롯의 시는 만시가 주종을 이룬다. 스승 서영곤의 연경서당(硏經書堂)에서 벗들과 종유하며 지은 시도 여러 수가 보인다. 내용은 주로 이황(李滉)에 대한 흠모의 정과 학문하는 자세를 노래한 것이다. 서당 주변의 경치를 읊은 서정시도 보인다.
한게임 슬롯 잡저에는 <연경서당통문 硏經書堂通文>·<성존심비설변 性尊心卑說辨>·<경국설 警國說> 등이 실려 있다. <성존심비설변>은 동문수학하던 이경직(李景職)이 스승 전우(田愚)의 <성존심비설>을 채문기가 보고 논변한 것이다. 전우가 자신의 성리학의 과제로 ‘성품을 높이고 마음을 낮춘다.’고 한 이 설은 마음을 이(理)라고 주장하는 ‘심즉이설(心則理說)’과 상반되는 것으로 한말 성리학의 쟁점으로 등장한 것이다., <성존심비설변>은 스승의 <성존심비설>을 모두 10개 단락으로 나누어 축조 토론, 분석한 것이다.
한게임 슬롯의 <경국설>은 꿈에 ‘경국’이라는 가공의 나라에 갔던 일을 적은 것이다. 입몽과 각몽 과정이 뚜렷한 몽유의 문학적 수법을 빌려온 뒤, 이어 인간의 본성과 ‘경(敬)’의 가르침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개진한 글이다.
한게임 슬롯 부록에 실려 있는 <획해설 獲蟹說>은 족종 헌식(憲植)이 지은 것이다. 채문기의 효(孝)에 대한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시묘 3년에 마침내 병을 얻었으나 게장(蟹醬 해장)을 바르고 나은 일을 적은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