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적인 핑크 슬롯와 문학적인 핑크 슬롯가 섞여 있으나 대체로 문학적인 핑크 슬롯가 중심이 된다. 문학적인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장체(聯章體) 시가(詩歌)들의 경우 각 연(聯)의 끝 부분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보다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핑크 슬롯의 길이는 한 단어나 어절에서 한 행이나 여러 행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행 단위 이상인 것들이 많다. 핑크 슬롯은 무의미한 말이나 소리로 된 것, 유의미한 말로 된 것, 그 둘이 섞인 것 등이 있는데, 두 번째 유형이 가장 보편적이다.
핑크 슬롯은 대개 연장체 형식의 시가에 나타나지만 단련체(單聯體) 형식의 시가에도 나타난다. 핑크 슬롯이 놓이는 위치는 대체로 각 연의 끝이다. 그러나 간혹 중간인 경우도 있다.
핑크 슬롯의 기능은 형식적인 측면과 의미상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리듬을 조성하는 기능을 맡고 있다. 동일한 음들을 반복함으로써 청각적인 즐거움을 주기도 하고, 시각적으로 연(聯)이나 장(章)을 분명하게 구분짓기도 하며, 전체적으로는 시가의 구조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구실을 한다.
핑크 슬롯상의 측면에서 볼 때 한 연이나 장에서는 핑크 슬롯의 전환을 가져오고, 전체적으로는 다양하게 전개된 핑크 슬롯의 확산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