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홍우원 ()

남파문집
남파문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우참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징(君徵)
남파(南坡)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5년(선조 38)
사망 연도
1687년(숙종 13)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이조판서|우참찬|공조판서
관련 사건
허적(許積)의 역모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우참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군징(君徵), 호는 남파(南坡). 홍온(洪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홍가신(洪可臣)이고, 아버지는 한성서윤 홍영(洪榮)이며, 어머니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판서 허성(許筬)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45년(인조 2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647년 검열을 거쳐 주서·대교가 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이듬해에는 봉교로 태백산사고와 오대산 사고를 살피고 돌아왔다. 정언을 거쳐 1651년(효종 2) 예안현감이 되어 시폐(時弊)를 논하는 장문의 소를 올렸다.

1654년 수찬이 되었는데, 강빈(姜嬪: 昭顯世子嬪) 옥사의 허위임을 직언하다 장살(杖殺)당한 황해도관찰사 김홍욱(金弘郁)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풀어 버림.)을 주장하다 파직당하였다. 1656년 직강(直講)·북청판관이 되고, 이듬 해 다시 직강이 된 뒤 1658년 병조정랑이 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현종 즉위 후 부수찬에 복직되고 공주목사·사인·장령 등을 지냈다. 1663년 다시 수찬이 되어 조대비(趙大妃: 仁祖繼妃慈懿王后)의 복상문제로 유배된 윤선도(尹善道)의 석방을 주장하다 파직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그러다 숙종 즉위초 2차 예송논쟁(禮訟論爭)에서 승리한 남인이 집권하면서 응교로 복직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이어 승지·부제학·이조참의·대사헌·공조참판 등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그리고 1676년(숙종 2) 대사성·예조판서·지중추부사에 임명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이듬 해 우참찬이 되어 흉년임을 들어 대동미(大同米)를 감량할 것, 납물교생(納物校生)의 면역(免役)을 중지할 것, 납속자(納粟子)에 대한 불신을 없앨 것 등을 진언하였다. 이어서 강화유수·이조판서를 역임한 뒤, 1678년 공조판서가 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재직 중 각 아문(衙門)의 둔전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총융청·수어청·어영청 등 4군영문의 재정을 은포(銀布)로 징수할 것을 주장하였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몰락하자 허적(許積)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명천으로 유배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그러다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문천으로 이배된 뒤, 1687년 현지에서 죽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1689년 기사환국으로 복작(復爵)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그리고 이듬해 영의정에 추증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학문이 고명(高明)하고 성품이 직절(直節)하다 해서 파직되었을 때마다 조정에서는 서용(敍用: 죄로 벼슬을 면한 사람에게 다시 관직을 주어 발탁함.)할 것을 국왕에게 진언하였다.

안성의 남파서원(南坡書院)·백봉서원(白峯書院)에 제향되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저서로는 『남파집(南坡集)』 13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성호문집(星湖文集)』
『남파집(南坡集)』
「소위기해복제문제에 대하여-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예론연구의 일척-」(황원구,『연세논총 사회과학편』2, 196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치트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