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혼춘 마적달 유적 ( )

고대사
유적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珲春市) 마적달촌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무덤탑과 벽돌무덤. 묘탑 · 전축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珲春市) 마적달촌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무덤탑과 벽돌무덤. 묘탑 · 전축분.
개설

혼춘 무료 슬롯유적은 무료 슬롯향에서 북쪽으로 약 1㎞ 떨어져 있는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산기슭 아래로는 혼춘하가 북쪽에서 남서쪽을 향해 흘러간다. 1973년 6월 길림성박물관과 연변박물관, 혼춘현문화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내용

무료 슬롯유적은 지상의 탑과 지하의 널방[地宮, 玄室], 널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건축물은 모두 벽돌과 돌을 사용하여 축조되었다. 지상에 축조된 탑은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원래 7층 탑이었으나 1921년 무너지고 탑의 기초 부분만 남아 있다. 탑 주변으로는 먼저 남북 13m, 동서 10.3m 범위까지 푸른빛이 도는 회색 벽돌을 지면에 깔았다. 탑은 그 가운데에 위치하며, 남북 4.95m, 동서 4.8m로 평면은 네모모양이다. 탑의 기초는 널방 천장부의 판돌 위쪽으로 세워졌는데 벽돌을 엇갈려 쌓아 축조하였다. 널방의 천장에서 탑 아래 기초 벽체까지 속은 비어 있다. 탑 아래 벽체는 지하 부분이 70㎝, 지상 부분은 60㎝ 높이로 남아 있다. 또한 벽체 네 모서리에는 보호벽이 남아 있다.

널방 역시 네 벽은 벽돌을 사용하여 무료 슬롯하였다. 벽체 위로 벽돌로 4단의 평행고임을 한 뒤 길이 3.61m, 너비 3.4m, 두께 50∼70㎝에 이르는 판돌 2개를 덮어 천장을 마감하였다. 널방의 길이는 2.7m, 너비는 1.86m, 중심 높이는 2.3m이다. 널방 바닥에는 널받침[棺臺]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중년 남성의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의 아래턱뼈, 척추뼈, 갈비뼈, 팔·다리뼈가 확인되었다. 널방 안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금동못과 철제 문빗장, 쇠못, 붉은 칠을 한 작은 단지의 아가리, 여러 문양의 벽돌 등이 있다. 널방의 기초 부분은 먼저 지하 5m 깊이로 굴토한 뒤, 1층의 황토를 깔아서 다지고 3층의 판돌로 쌓은 뒤, 그 위로는 또 다시 1층의 황토를 깔아서 다져 만들었다. 널방 네 벽과 천장에는 백회를 발랐다.

널길은 널방 남벽의 가운데로 입구가 나 있다. 지상을 향해 비스듬한 계단식으로 무료 슬롯되었다. 전체 길이는 10m이며, 너비는 북쪽이 좁고 남쪽은 넓은데 남쪽 너비는 2.6m, 입구 너비는 1.5m이다.

의의와 평가

무료 슬롯유적의 탑은 대체로 중국 당나라 시기의 불탑(佛塔)과 비슷하며, 정효공주무덤과는 탑 기초의 평면은 물론 널방의 구조와 규모, 축조법 등 여러 방면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유적은 탑과 결합된 형식의 무덤으로 볼 수 있으며, 정효공주무덤과 비슷한 8세기 말 무렵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琿春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文物考古工作三十年』(文物出版社, 1979)
「琿春馬滴達渤海塔基淸理簡報」(張錫瑛,『博物館硏究』1984年 2期)
「渤海貞孝公主墓發掘淸理簡報」(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社會科學戰線』1982年 1期)
집필자
정원철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무료 슬롯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무료 슬롯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